수강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2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70기 61조 제티언니]

  • 23.12.14
  1. 나에게 특히 와닿았던 점 (요약)
  2. 하락장을 못 버티고 던져버리면 안됨 -> 인내가 필요
  3. 부동산 가치 평가하는 정확한 기준을 가져야 함: 직장,교통,학군,환경,호재/악재,브랜드
  4. 적정한 매매가격 판단기준(★★★핵심★★★):
  5. 비슷한 가격 -> 입지비교
  6. 비슷한 입지 -> 가격비교
  7. 부동산가격 영향요소:
  8. 거시적: 통화량, 물가, 수요/공급(입지독점성), 경기
  9. 미시적: 가격저평가여부, 심리, 단기공급(입주물량), 투자기준
  10. 전세가격 영향요소: 물가 + 공급물량(입주물량), 단 작년 특이점은 임대차3법과 금리
  11. 투자원칙: 저환수원리
  12. 저평가여부: 가치평가를 통한 가치>가격 매물을 알아보는 눈
  13. 환금성: 매도가능여부
  14. 수익률: 수익금/투자금(매매가-전세가), 연간계산시 /투자기간(년)
  15. 원금보존: 내 수익률에 적합한지, 매매가 떨어지지 않을지, 전세가율, 수요와 입지독점성 확인, 단기 입주물량 적정여부 확인(잔금일 조정도 필요)
  16. 리스크관리: 시세차익부동산 리스크 확인, 일반 투자의 리스크 확인
  17. 적용해보고 싶은 점
  18. 배짱 -> 이 부분은 나름 갖추어졌다고 판단되는데, 남편과의 align이 필요한 부분
  19. 비교평가(입지와 가격 통한) 방법에 대한 세부사항 공부 및 적용할 필요 있음
  20. 투자원칙(저환수원리) 복습 및 내재화
  21. 목실감 작성 및 멘토/러닝메이트 형성에 시간을 쏟아야 함
  22. 궁금한 점
  23. 대전제: "경상수지 흑자에 따른 통화량 증가에 따른 물가 상승" -> 즉 부동산가격의 상승
  24. 경상수지 흑자 3위 일본도 통화량이 증가했는지? 물가가 상승했는지?
  25. 대전제가 더 이상 지속되지 않을 가능성?(우리나라 수출경쟁력 약화에 따른 경상수지 적자)
  26. 메가시티 서울을 기타 메가시티와의 비교/대조할 필요가 있을지? (뉴욕,도쿄와 비교 등)


느낌대로가 아닌 원칙을 가지고 리스크와 성과를 모두 아는 상태에서 투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었고, 계획을 세우는 것보다 실천을 해 내는 일이 더 어렵고 대단한 습관이라는 것을 느낍니다.



댓글


제티언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