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개월 차: 나를 아는 시간 (현실 파악 + 기준 정리)
목표: 얼마까지, 어디에, 무슨 조건의 집을 원하는지 정리하기
1주차
재무상태 정리
- 현금성 자산 (통장, 예적금, 투자자산, 청약통장 등)
- 대출 가능 범위 확인 (생애최초/디딤돌/보금자리/특례보금자리 등)
- 연소득, 월상환한도 정리
- 신용점수 체크
2주차
주거 기준 정리지역 1순위, 2순위, 3순위
- 평수, 방 개수, 층수 등
- 출퇴근 거리, 지하철역 도보 거리 등
중개사 또는 전문가 상담 예약 (1~2군데)
3~4주차
리스트 30곳 작성 (실거래가 기준)네이버부동산 활용
- 도보/버스 시간 체크, 급지 체크
✅ 2개월 차: 시장 보기 + 실행조건 설정
목표: 실매물 접촉, 대출/청약 가능성 구체화
1~2주차
내가 살 수 있는 집 9곳 직접 보러 가기
- 최소 2~3개 중개사 통해 방문
- 해당 지역 실거래가, 리모델링 이슈 체크
- 실내 상태 + 커뮤니티 + 단지 분위기 체감
대출 한도 및 금리 비교하기
- KB/신한/우리은행 및 카카오뱅크, 토스 등 비교
3~4주차
주요 선택지 1~2개로 압축 후 조건표 작성
- 자금계획표(대출/보증금/중도금/세금) 포함
-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 미리 확인
계약 전 필요한 서류 체크리스트 정리
- 인감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
✅ 3개월 차: 결정 + 실행 준비
목표: 계약 결심 유무 판단 + 타이밍 정리
1~2주차
시세 변동 추이 체크
- 매주 월요일 호가/실거래가 비교
계약 진행 가능한 상태 만들기
- 자금 조달 계획 미리 세워보기
3~4주차
최종 결정 (매수/보류/청약)실행 가능한 상황이면 계약 → 입주 준비
불확실하면 3개월 추가 플랜B 수립
댓글
밤톨이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