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8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독서리더, 독서멘토

* 독서후기 제목은 닉네임과 책 제목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
1. 책 제목: 결국엔 오르는 집값의 비밀
2. 저자 및 출판사: 김준영/ 한국경제신문
3. 읽은 날짜: 25.06.29-30
4. 총점 (10점 만점): 9/ 10점
[1장. 집값은 이렇게 만들어진다_전세의 이해]
[2장. 부동산시장의 변동성과 자산가치의 변화를 구분하라]
흔히들 돈의 가치가 떨어져서 자산가치가 올라갔다고 얘기하는 것처럼 시장의 요구수익률의 변화 ⇒ 금리의 변화에 따라 자산가치가 변화한다(* 자산가치의 변화 ≠ 가격의 변동성)
우리가 금리의 변동성, 속도, 방향을 맞히는 것은 불가능
→ 결국 자산가치의 평가와 변동성, 변화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임대료(전월세)
→ 그러므로 단기 전망은 임대료의 변화에 따른 매매가격의 변동성과 자산가치의 평가를 통해 하는 것이 가장 좋다
[3장. 움직이는 수요, 어떻게 파악할까]
수요의 종류
⇒ 이런 수요가 잘 반영되어 나온 것이 거래량
[4장. 공급을 알아도 전망이 쉽지 않은 이유]
수도권과 지방의 가장 큰 차이
⇒ 공급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
지방 시장 해석방법/ 특징
[5장.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를 알면 투자가 보인다]
책을 읽고 난 후 느낀 점 또는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4장 01. 수도권과 지방의 가장 큰 차이
열중 주우이님의 4주차 강의를 듣고 봐서 더 좋은 책이었다.
수도권과 지방의 사이클 차이를 만드는게 규모의 차이인 것을 강의로 배웠지만 정확하게는 이해가 안 됐었는데 이번 책을 통해 자세히 알 수 있었다.
1장 01. 전세가가 매매가를 밀어올리는 이유
1장 03. 서울은 왜 전세가율이 낮을까
무엇보다 전세와 월세가 부동산의 생산자원이자 사용가치라는 관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서울은 전세가율이 60% 지방은 70-80%라고 그냥 암기하는 식으로 알고 있었는데, 사용가치에 도시의 성장이 기대수익으로 반영된 것이 전세가율이고 서울은 미래의 기대 수익이 높기 때문에 전세가율이 낮은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2장 01. 부동산시장, 단기 전망과 장기 전망의 차이
8장 통계를 과신하면 안 되는 이유
부동산 공부를 시작하면서 매매/전세 거래량, 매매심리지수, 대출, 미분양 등등 통계자료에 대한 정보를 볼 일이 많아졌는데 각각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어떻게 해석 해야하는 건지가 좀 어려웠다. 그래서 그 안에서 장기적으로 봐야할 통계가 어떤 것인지, 단기적으로 중요한 통계는 공급이라는 점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결국 제자리로 돌아온다는 것입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부동산은 자신의 원래 가치를 찾아갑니다.
→ 정책, 급등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지켜보고 대응방법을 생각하자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