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칼리니코스입니다.
이번에 지투강의를 약 1년 반개월만에 그리고 지방을 약 1년 2개월만에 임장하게 되었습니다.
오랜만에 지방임장이라 수도권과는 다른 요소가 있지만
결과적으로 본질은 같다는 사실을 강의에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특히, 잔쟈니님의 강의는 처음 들었는데요.
이번 강의를 통해 소액투자로 접근하게 되는 저의 현실과
앞으로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 그리고 의미없는 앞마당은 없으며
결국은 내가 투자할 곳들이고 현재 종잣돈은 없지만
실력을 쌓는 과정을 통해 종잣돈이 생겼을 때
궁극적으로 잔쟈니님처럼 수도권으로 갈아탈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목표를 다시 한 번 다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가 이번 강의에서 가장 크게 느꼈던 것은 ‘지역 내 투자범위'와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
그리고 매도의사결정기준이었습니다.
지방투자의 투자범위와 선호도
선호도가 중요한 것은 결국 어느 지역이든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였습니다.
하지만 유독 지방에서 선호도와 투자범위를 정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결국 지방은 매도하고 갈아탈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하기에
선호도가 높다면 환금성 측면에서 수월하고
또한 공급량에 따라서 투자범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조OT 때 운조 튜터님이 말씀하신 내용이 이런 측면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내가 어느 범위까지 투자할 수 있는지 투자기준을 설정해야한다는 의미에 대해서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동안 공급이 많으면 무조건 전세가 하락한다'라는 선입견이 있었는데
각 상황에 따라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지방은 공급이 중요한 만큼 모든 것을 공급을 면밀하게 보아야
내가 전세를 맞추거나 할 때 목표 전세가를 어떻게 설정할지 고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매수 경험이 있다면 단순히 매수하는 것이 끝이 아니라
월부의 시스템 투자자들은 결국 전세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단순히 희망회로를 돌렸다가 내 생각과 다른 전개가 일어났을 때 감당하지 못하는 ‘리스크’는
결국 손실을 초래하게 됩니다.
또한, 수도권과 다르게 지방은 전세에 대해서 더욱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궁극적으로 잃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전세와 매도 모든 것을 고려하였을 때 결국에는 사람들이 좋아하고 돈을 주고 사고 싶은 곳을
계속 생각해가며 현장에서 판단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수익성, 환금성 모두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내 투자금에서 할 수 있는 제일 좋은 것을 선별하는 것이
투자의 핵심이라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적용할 점 : 이번 임보 작성시 어느 범위까지 투자할 수 있는지 투자 기준을 설정하여 투자후보지 설정
매도의사결정기준
사실 그동안 월부 수강하면서 매도에 관한 이야기가 궁금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매수에만 관심이 많아서인지 매도에 관한 이야기를 강의에서 많이 듣지 못하였는데
이번 강의를 수강하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장기보유 관점과 기초반의 경우 매수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수강생들에게 알려주어야 함에 따라
강의에서 많이 다루지 않았던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강의에서 지방투자는 결국 매도 후 갈아타기를 해야하기에
매도의사결정이 그만큼 중요하며 그 기준이 명확해야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즉 매도할 때 고려해야할 것은 1. 수익, 2. 포트폴리오, 3. 리스크이며
내가 그 기준을 지켜가며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기준대로 할 수 있도록 해야 내가 판건 오르고 내가 산 건 떨어지는 순간에
흔들리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 기준을 명확히 알고 지켜나가는 것.
말은 쉽지만 지키기 어려운 그것을 저도 이번 강의를 통해 꼭 지키도록 하겠습니다.
적용할 점 : 매도 기준을 지키며 매도 이후 자산을 불릴 수 있도록 투자 실력을 키우는 것.
이번 강의를 통해 지방투자 전반에 대해 알 수 있게 해주신 잔쟈니님께 감사합니다.
댓글
칼리니코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