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에게 특히 와 닿았던 점
1) 양극화로 인한 지방투자에 대한 두려움을 오히려 기회로 이용해 서울투자의 마중물이 될 수 있음을 튜터님의 경험을 예로 들어 설명해 주신 점이 좋았습니다. 막연히 그럴 것이다가 아니라 광역시부터 중소도시간 비교를 통해 투자시점부터 매도후 복기까지 일련의 과정에 대한 디테일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2) 선호도 기준이 하나가 아니라 해당지역, 단지별로 뽀쪽한 요소 key를 찾아야 합니다.
3) 저평가와 환금성을 연결해서 판단하기
-가격이 아니라 가치에 비중을 두고 거래량, 빈도추이를 확인하기
4) 해당 지역별로 사이클이 따르고 일괄적인 적용할 수 없다.
5) 매도시점 , 상승장 고점인지 확인에 구축 시세트래킹이 도움이 된다.
6) 투자할 곳 정보를 쫓아다니는 사람이 아니라 투자실력을 키워서 투자할 곳을 발견하는 사람
-OTP카드를 가지고 임장다니셨다는 마음이 지금의 내 조급함을 그대로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우왕좌왕 갈팡질팡 하는 밑바탕에는 한번에 해결하려는 희망회로가 자리잡고 있었던 것입니다. 투자경험에 대한 갈증을 공부와 실력이라는 일급수로 해결하는 것이 정도인 것을 알려주셨습니다.
2. 적용해 보고 싶은 점
1) 복기의 프로세스 모의 투자로 적용해 보기
-매도시점(매수 후 2~4년이후)에서 해당지역 공급사이클과 연계해서 매도가와 전세가를 설정해보기
2) 가치필터링 먼저, 이후 가격필터링 하기
3) 구축의 가격변화, 거래량 추이도 트래킹이 필요하다.
4) 시세트래킹 + 시세추이, 물건 나가는 속도, 갯수 파악하기
5) 조모임을 통해 조원들과 튜터님과의 소통을 통해 내 투자실력을 메타인지하고 부족한 부문을 보완할 것
6)BM 리스트 작성해서 원씽과 연결하여 결과확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