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8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독서리더, 독서멘토

⭐️ 저축에 실패하는 이유는 당신 탓이 아니다.
P.014 무작정 허리때를 졸라매고 돈을 무기한 모아야 된다고 생각하니 막연하게만 느껴지는 것이다. 저축은 시시포스의 형벌이 아니다.
⭐️ 이렇게 하자 1억이 더 이상 두렵지 않았다.
P.019 목표 쪼개기 스킬은 재무 계획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두루두루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중략) 이렇게 지금 바로 실행이 가능한 작은 행동들로 쪼개야 지치지 않고 목표에 더 쉽고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
⭐️ 제 월급은 그렇게 많지 않은데요?
P.023 자기 합리화와 핑계 대는 습관을 지금부터라도 버리도록 하자. 인생을 살아 가는데 아무 도움이 안 된다. 당연히 여러분이 지금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미래도 지금과 별반 다를 게 없ㅇ르거다. 씨앗을 뿌리지도 않고 벼농사가 잘 되길 기도하는 농부와 다를게 없으니 말이다.
성공하는 사람은 방법을 찾고, 실패하는 사람은 핑계를 찾는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 월급날 나의 의지를 믿지 말자.
P.029 나만의 '자동 저축 시스템'을 만들기 바란다. 이렇게 한 번만 설정해두면 매번 번거롭게 저축할 필요가 없다. 당연히 내 의지가 개입될 일도 많지 않다.(중략)나 자신이 자기합리화를 하기 전에 먼저 저축부터 하도록하자.
⭐️ 평생 자린고비처럼 살아야만 할까?
P.030 저축은 단거리 경주가 아닌 마라톤과 같다. 페이스 조절이 생명이다.(중략) 극단적으로 내 욕구를 억누르며 돈을 모으는 방법은 오래가지 못한다.
P.032 물건이 주는 효용이 그리 오래가지 못한다는 것과 두 번째는 내가 물건을 구매함으로써 만족감을 크게 얻는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 예적금은가난의 추월차선
P051. 물가 상승률이 그림자처럼 항상 따라다닌다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만약 당해의 물가 상승률이 3.2% 라면 명목금리(3.50%)에서 물가 상승률(3.20%)을 뺀 0.3%가 바로 ‘실질금리’가 된다. 나는 원금도 보장되고 이자도 3.5% 더 받는다고 생각하였지만, 사실상 내가 받는 이자율은 꼴랑 0.3%에 불과하다는 소리다.
P052. 우리가 더 똑똑하게 자본주의를 살아가기 위해, 하루빨리 금융 문맹에서 벗어나야 하는 이유다.
⭐️ 3년 만에 1억을 모으고 패닉에 빠졌다
P056. 평소에 투자 공부를 틈틈이 하며 나만의 기준을 가지고 1억을 모은 후 투자하겠다는 자세와, 막연히 재테크가 두렵고 낯설다는 이유로 미루면서 일단 1억부터 모으겠다는 자세는 천양지차이다.
투자는 두렵고 어려운 것이 아니다. 단지 익숙하지 않고 낯설어 막연한 두려움을 느낄 뿐이다. 일단 가볍고 쉬운 거시경제 책부터 읽어나가 보자. 숲을 멀리서 바라볼 줄 아는 사람이 나무들 사이에서 길을 잘 찾는다.
또한 재테크는 항상 100점을 맞아야 하는 시험 같은 게 아니다. 처음부터 높은 수익률을 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가지지 말자. 여러분은 월가의 투자 전문가가 아니다. 대신 내가 오늘 당장 실천할 수 있는 ‘행동목표’부터 하나씩 클리어해보자. 증권사를 개설하고 환전을 하고 평소 관심 있었던 기업의 주식을 1주라도 사보는 거다.
⭐️ 꼭 1억이 있어야 투자할 수 있을까?
P058. 내가 다시 1억을 모으기 전으로 돌아간다면 비상금 1,000만 원 정도만을 먼저 모아두고 소액으로나마 투자를 시작할 것이다. 책으로 배우는 것과 실제 투자를 해보는 것엔 큰 차이가 있다. 투자 경험이 많아질수록 시장을 보는 감각이 날카로워진다. 이 경험이 나중에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게 만들어준다.
손실도 마찬가지다. 나중에 큰돈을 잃느니 지금부터 적은 금액으로 투자해 봐야 실수를 만회할 수 있다.
⭐️ 투자할 시간에 자기계발하는게 더 이득?
P060. 구체적인 중장기 계획을 가지고 필요한 자격증을 따고 포트폴리오를 쌓으며 투자 때를 기다리는 사람과 ‘사회 초년생 땐 투자보단 자기 계발이래~’라며 퇴근 후 하릴없이 폰만 들여다보는 사람의 차이는 천지차이다.
(중략) 투자를 하면 자연스럽게 경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경제를 알면 돌아가는 시장 흐름이 보인다. 어떤 산업이 망해가고 있고 또는 반대로 미래에 유망할지 흥망성쇠를 알 수 있게 된다. 사양산업에서 백날 직무 능력을 개발해봤자 높일 수 있는 몸값의 한계는 극명하다.
⭐️ 커피 한 잔이 810만원이 되는 마법
P063. 부자들은 작은 돈도 허투루 생각하지 않는다. 내가 좋아하는 워런 버핏의 말이 있다.
“평소에 큰 돈이 나가는 것은 신경 쓰면서 사소하게 작은 돈이 나가는 것들은 신경을 덜 쓴다. 하지만 이게 반복되면 크나큰 지출로 이어진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P.072
쉽게 돈 벌 수 있는 방법은 그 어디에도 없다. 게다가 누군가 초대박 정보라며 알려준다면 ‘개이득!’을 외칠 것이 아니라 왜 그런 고급 정보가 나한테 왔을까라며 의심을 먼저 해보아야 한다. 슬프지만 그 정보가 여러분의 귀에 들어갔을 때쯤엔 이미 그 정보는 다양한 사람들을 거쳐 닳고 닳은 볼품없는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내 돈은 스스로 지키고 책임져야 한다는 사실을 절대 잊지 말도록 하자.
⭐️ 영원한 1등 기업은없다
P.106 앞으로의 비전을 따져보지도 않고, 무조건 시총 1위 기업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매수하는 건 좋지않다.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듯, 시가총액 순위는 항상 변화해왔기 때문이다.
P107. 즉,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얼마든지 1등은 바뀔 수 있다. 정보와 자본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일반인 투자자가 한 기업의 흥망성쇠와 그 시기를 맞춘다는 건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맘 편하게 장기투자를 하려면 자동으로 우량주들에 투자하 S&P500이 적합하다.
⭐️ 한 번에 몰아서 살까? 적립식으로 살까?
P.116 하지만 지구상의 그 누구도 시장의 흐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 최저점이 언제일지 계속 생각하느라, 정작 투자도 시작하지 못하고 다른 걸 하지 못한다면 이 또한 기회비용을 치르는 것이다. 그러니 내가 시장 타이밍을 맞추겠다는 욕심은 일찌감치 버리고, 소액으로나마 적립식 투자를 시작해 보자.
⭐️ 내 소득의 얼마를 투자해야 할까?
P.118 월급 혹은 수익의 최소 10%부터 투자해 보도록 하자. 이 비율 또한 스스로 유동적으로 조절하면 된다. 만약 이번 달에 돈 쓸 곳이 많다면 투자금액을 줄이고, 평소보다 여윳돈이 생겼다면 투자금액을 늘려보는 것이다. 투자로 더 많은 돈을 벌고 싶다면, 아래 세 가지 변수 중 최소 하나 이상을 늘려야 한다.
투자금액 X 투자 기간 X 수익률
지금 당장 투자금액을 많이 늘리는 건 어려우니, 하루 빨리 시작하여 투자 기간만이라도 내 편으로 만들어야 한다.
⭐️ 단기투자 VS 장기투자,어떤 방법이 더 좋을까?
P.120 그래서 장기적으로 성장할 좋은 기업을 발굴하여 크게 신경 쓰지 않는 ‘장기투자’를 더 선호한다. 하루 종일 주가창을 바라볼 정성으로 더 생산성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까이서 들여다보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지만, 길게 보면 계속 우상향할거란 믿음이 있기에 수익률에 크게 연연해하지 않게 된다.
⭐️ 완벽하지 않더라도 일단 투자해보자!
P.198 완벽한 이론을 갖추고 시작하는 재테크보단 일단 소액으로라도 먼저 투자해서 시행착오를 겪어나가는 투자가 훨씬 낫다. 그러니 완벽한 공부, 완벽한 타이밍을 기다리지 말고 일단 먼저 시도해 보는 습관을 가지길 바란다.
🌟 저축과 투자를 자동화한 진짜 이유
P.202 투자로 자산을 불리려면 투자금액, 투자 기간, 수익률이라는 세 변수 중 최소 하나 이상의 값을 높여야 한다. 시간을 절대 되돌릴 수 없기에, 하루라도 빨리 투자를 시작하여 기간을 늘려야 한다. (중략) 따라서 이 세 변수 중 나의 노력으로 크게 바꿀 수 있는 것은 ‘투자금액’이다.
저축과 투자는 자동 시스템에 맡겨두고 나는 벌어들이는 소득을 높여 투자 금액 규모를 키워야 한다. 그래야 원하는 부를 더 빠르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소득을 늘릴 수 있을까? 직장인이라면 커리어에서 인정을 받아 승진을 하거나 이직을 하면서 연봉을 점프시킬 수 있다. 동시에 부업도 겸하면서 월급 외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만약 프리랜서라면 포트폴리오와 신뢰도를 점차 쌓아가며 작업물에 대한 단가를 높일 수 있다. 또 자신이 하고 싶은 아이템이 있다면 사업을 통해 돈을 벌 수 있다.
⭐️ 실행력 200% 끌어올리는 주문 ‘일대빨‘
P.212 모든 걸 빠짐없이 준비하고 완벽한 타이밍을 기다리는 것보다, 일단 빠르게 실행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다줄 때가 있다.
P.213 완벽한 때는 존재하지 않는다. 설령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 타이밍이 언제인지 알 수 없다. 그러니 일단 대충 빨리 일을 시작하는 습관을 가져보도록 하자.
⭐️ 스타벅스도 처음엔 지금의 모습이 아니었다
P.204 지금의 명성을 얻은 이들도 포기하지 않고 시도를 계속 해왔기에 현재의 모습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니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야한다고 지레 겁을 먹지 말자. 일단 시작한 후 끊임없이 배워나가며 성장하면 된다. 당신의 시행착오를 항상 응원하고 싶다.
읽고 꺠달은것과 실천할 것
(마지막으로 내가 읽은 책의 페이지나 책 표지를 대표사진으로 꾹 클릭해주세요.)
댓글
월부입사하고싶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