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내집마련 기초반] 내집마련에 대한 마인드셋과 목표 설정 후기

  • 25.07.06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내 집 마련, 왜 어려운가?

  • 언제 사야 할지 모르겠다
  • 소득/자산이 부족해서 시도조차 못한다
  • 지금 집값이 너무 비싸다
  • 하락할까 무서워서 기다리는 중이다

=> 현재 대부분의 규제는 대부분의 실수요자에게는 크게 안달라진다. 현금 5억, 연봉 1억이상부터 12억 이상 접근이 가능하다고 한다. 걱정하지말자!

=> 그런만큼 경쟁자들이 더 불안해 떨어져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자!

 

 내 집 마련 6단계 해법

  1.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
    • 시기, 범위 등 원칙 수립
    • 현재 규제는 금융규제(대출 규제)만 규제가 걸렸다. 세제규제(종부세 등)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2. 자신만의 계획 세우기
    • 최종 목표/징검다리 전략 구체화
  3. 타겟 선정
    • 어떤 집을 목표로 할지 명확히 설정
  4. 핵심 역량 배우기
    • 매매 타이밍, 지역 선별, 대출 이해 등
  5. 실행 기술 습득
    • 집값 분석, 사례 연구, 시장 읽기
  6. 지속적 반복 학습
    • 실패하지 않으려면 ‘지식+실행+리뷰’가 반복돼야 함

 

핵심 개념 요약 지금 집 사도 될까?

  • 단기 예측은 거의 불가능, 5~10년 관점에서 판단
  • “싸게 사는 법”보다 중요한 건 “비싸게 사지 않는 법”
  • 매수 판단 기준:
    • PIR 12 이하
    • 전세가율 60% 이상
    • 실거래가 대비 -15% 이상 떨어진 단지

=> 언제 사든 대부분 서울 아파트는 장기간 거주하면 잃지 않는다. 다만 가급적 싸게 안전하게 사고 싶으면 PIR, 전세가율을 보고 단지별 기준을 잡아야 한다.

=> 뉴스에서 몇십년을 돈안쓰고 모아야지 살수있다고 비관적으로 생각하지 말자!

 

개인적으로 PIR에 대해 궁금해 찾아봤는데, 서울 전체로 하면 이미 많이 올라버린것 처럼 보이지만

 

일부 서울 하급지나 수도권에서는 전세가율 60%, PIR도 12이하인 것을 살펴봤습니다.

아직까지 지금 시기 적절한 지역들이 충분히 있다고 느꼈습니다 ㅎㅎ.

 

 

성공적인 내집마련을 위한 전략

시장 원인 분석

  • 금리, 공급, 정책의 영향을 이해해야 함
  • 예) 2024년 말 기준 금리 인하 → 매매가 하락 방어

로드맵 구성 요소

  1. 목표 설정 -  (예: 최종적으로 10억대 아파트)
  2. 계획 수립 - (예: 징검다리 2회, 대출 전략 포함)
  3. 실행 단계 나누기 - (예: 사회초년생 → 신혼부부 → 자녀양육기)

 

 

아무거나 사면 망한다. 싸게 사는 것보다, 비싸게 사지 않는 것이 내집마련에 있어 중요한 내용이라고 판단이 들었습니다. 특히 6개월 이상 급매로 나온 집에 대해 내집마련 하는 방법은 정말 머리를 얻어맞은듯한 기분이었습니다 ㅎㅎ.

돈이 전혀 아깝지 않은 너무 좋은 강의였습니다

이번에 신혼집을 구하려고 찾아보는 중이라 먼미래의 집까지는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드림하우스, 갈아타기에 대해 좀 더 생각해보고 목표설정해서 과제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댓글


뱅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