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꾸준한 투자자 주토입니다!
지투실전 1강은 쟈니 튜터님의 강의로 시작했는데요!
넘 오랜만에 보는 튜터님 ㅠㅠ 화면에서 보니 되게 색다른 기분이 들었습니다!!!
이번 강의는 쟈니 튜터님의 머릿속을 들여다보는것처럼 지방에 대한 튜터님의 생각을 모두 전수받을 수 있던 소중한 시간이었는데요
인상 깊었던 내용들 정리하며 하나씩 적용해나가보려합니다
내가 단지나 지역에 대한 생각을 내 언어로 표현하는게 부족하구나를 봄학기를 통해 깨달았는데요
머릿속엔 막연하게 감으로 a단지가 b단지보다 좋다 생각해 튜터님께 b보다 a가 낫지않냐고 물어보면 정답을 알려고 하는거같다는 피드백을 받아서… 난 그런 의도가 아닌데 왜 그렇게 말씀을 하시는걸까…고민을 했는데
이게 다 단지를 내 언어로 설명하지 않은 채 비교를 하려했던게 문제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정확한 가치를 알고 이를 비교하기위해서도 내 언어로 지역의 특징, 투자범위, 우선순위를 정리해야됨을 깨달을 수 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 BM : 단지분석 할 때 한 문장으로 단지 가치에 대한 내 생각 적어보기
내 언어로 표현할 뿐만 아니라 우선순위 자체를 잘 알고 있어야 나중에 매도까지 영향을 준단걸 알 수 있었는데요
“A가 꼭지를 찍을 수 있어도 우리가 꼭지에 팔 게 아닌 이상 잘 팔릴 만한 단지를 선택해야 한다”
이 말이 되게 쇼킹하게 다가왔습니다. 이 얘기를 들으며, 아 전고점으로만 단지를 판단할게 아니라 지역에 대한 우선순위가 명확히 바로세워져야됨을 더 명확히 와닿을 수 있었습니다.
또, 지방 시장이 수도권 같은 한 사이클을 공유하는 시장도 아닐뿐더러 각자의 개별성이 있는 시장이라면 공급으로 먼저 가격 상승의 흐름이 올법한 시장에 가서 잘 팔릴 만한 물건을 찾는 게 지방에선 중요하다고 느껴졌습니다. 결국 지방은 매도를 고려할 수밖에 없는 단지들이 대부분이기에 환금성이 더더욱 중요함을 깨달았습니다.
싼 가격 + 환금성 까지 같이 고려하기 위해선 투자 의사결정과정 3단계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는데요
저평가 - 같은 가격에 더 좋은건 없는지? + 비슷한 가치인데 더 싼 건 없는지?
투자금 - 목표매수가 + 목표전세가
리스크 - 잔금대비(안된다면 주전, 세안고) / 역전세(전세금의 20% 유동성)
>> bm : 저평가 + 전세가 지도 + 잔금리스크 + 환금성 등을 통한 2차 선별로 좋은 순서대로 top3 선정하기
지방에 대한 튜터님의 생각, 시장 분위기, 선호도, 지방 투자 로드맵 알려주신 쟈니튜터님 감사합니다
학교에 있을때도 튜터님의 인사이트에 번쩍번쩍 놀란 적이 많은데 이렇게 긴 시간동안 튜터님 생각 들을 수 있어 너무 좋았습니다
열정적인 강의 해주신 튜터님께 감사하고, bm내용 적용해서 더 성장하는 주토 되겠습니다!
댓글
주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