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첫 지방 부산 임장 시작 전 유디님의 강의를 듣고 임장을 할 수 있어 다행이다
이전 강의를 통해 지방투자에 대해 익히들었던 내용을 깊게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지방 부동산의 큰 특징이라고 느꼈던 첫번째는 지방은 매매가와 전세가가 같이 움직이는 사이클이라는 것.
두번째는 지방은 한 번 하락장이 오면 언제 끝날지모르기 때문에 사야할 집과 사지말아야할 집을 잘 판단한다는 것.
그 판단을 잘하기위해
지방은 인구수, 건물 가치가 큰 단지, 지역 내 선호도를 잘 고려해야한다
인구수는 결국 그 지역에 수요자이기 때문에 인구가 많을 수록 매매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서울,수도권과 다르게 지방 A지역에서 지방 B지역으로 출퇴근이 어렵기 때문이다. (50만 이상의 지방부터 보자!)
지방은 빈 땅이 많아 신축아파트를 짓는 것이 수월한 면이 있기 때문에 ‘땅의 힘’이 크지않다.
그래서 오히려 직장과 교통이 가장(?)중요한 수도권과 다르게 지방은 환경과 학군이 더 중요한 면이 있다.
지방의 환경적 요소를 파악할 때 백화점, 대형마트 개수와 매출이 매수자의 소비력을 확인 할 수있고,
지역의 거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큰 영향은 아님. 신축, 택지를 거주지로 더 선호한다.
지방은 공급물량이 전세가격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지방 투자 전 알아야할 가장 중요한 공식은
'공급물량(3년치 확인)이 없다 → 전세물량이 줄어든다 → 전세가가 오른다 → 매매가도 오른다' 는 것
투자자는 너무 좋은 것만 사려고하지말고 안좋은 부분도 편견을 가지지말고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부분을 생각해보자!
댓글
월부1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