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함께하는가치] 2025-7#1 게으르게 살지만 부자는 되고 싶어-예프리

  • 25.07.10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게으르게 살지만 부자는 되고 싶어

저자 및 출판사 : 예프리

읽은 날짜 : 2025.06.29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돈을 버는 자동화 시스템 #돈 관리법 #재테크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내용 및 줄거리]

 

1️⃣'자동 저축 시스템' 만들기

목표 금액을 먼저 정하고, 역산해서 내가 한달에 모을 금액을 정해 저축 자동화 하기

✅측정되지 않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최소 매달 얼마를 모아야하는지는 알아야 한다.(최소한)

✅월급날 미리 측정해 둔 돈을 여러 통장으로 송금되도록 자동이체 설정해두기

✅회사에서 일 하나를 하더라도 나를 위해서, 경력 이력서에 적을 한 줄을 위해서 일한다고 생각하기

 

p.29 자기합리화와 핑계 대는 습관을 지금부터라도 버리도록 하자. 인생을 살아가는데 아무 도움이 안 된다. 당연히 여러분이 지금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미래도 지금과 별반 다를 게 없을거다. 씨앗을 뿌리지도 않고 벼농사가 잘 되길 기도하는 농부와 다를게 없으니까 말이다.

 

p.29 성공하는 사람은 방법을 을찾고, 실패하는 사람은 핑계를 찾는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2️⃣'1억부터 모으세요'에 숨겨진 함정

✅ 작은돈도 헛투루 생각하지 않기. 사소하게 나가는 커피값, 불필요한 지출 줄이기

✅ 약은 도매약국에서, 기프티콘도 할인 어플 이용

✅ 퇴직연금은 DB형과 DC형중 선택할 수 있다. 내 퇴직금으로 직접 투자를 원하면 DC형을 선택, 대신 변경은 안되지만 처음에 안정적으로 회사가 굴려주며 복리로 퇴직금을 쌓길 원하는 사람은 DB형을 선택하면 된다.

 

p.68 부자들은 작은 돈도 허투루 생각하지 않는다.

 

p.71 사람들에게 곁으로 보여지는 모습보다 내가 돈을 벌 수 있는 실제 능력과 마음가짐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포장지만 화려하고 속은 텅텅 빈 깡통이 되기 싫었다.

 

p.73 그 물건을 구매하는 것이 정말 나의 기쁨을 위함인지, 아니면 보여주기 위한 소비인지 생각해 봐야 한다. 내가 행복하면 그냥 행복한 것이지 누군가 내 행복을 알아주어야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다.

 

 

 

3️⃣'자동 투자 시스템' 만들기

✅ 젊은 노동력이 계속 모이는 나라에 장기투자(미국, 인도 등)

✅ 맘 편하게 장기투자 할 수 있는 S&P500

 

p.115 아인슈타인은 살아생전 복리에 대해서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여덟 번째 세계 불가사의는 바로 복리다. 복리를 이해하는자는 돈을 벌고 그렇지 못하는자는 지불하게 될 것이다."

★시간을 우리 편으로 만들수록 더 많은 돈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일단 부족하게 느껴지더라도 잃지않는 투자라면 조금이라도 일찍 투자시기를 앞당기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좋은 선택이다.

 

p.120 지구상의 그 누구도 시장의 흐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 최저점이 언제일지 계속 생각하느라, 정작 투자도 시작하지 못하고 다른 걸 하지 못한다면 이 또한 기회비용을 치르는 것이다. 그러니 내가 시장 타이밍을 맞추겠다는 욕심은 일찌감치 버리고, 소액으로나마 적립식 투자를 시작해 보자.

 

 

 

4️⃣절세계좌 200% 활용하기(연금저축 계좌&ISA)

✅ 연금저축계좌(대상 납입한도 연간 600만원)

- 총 급여 5,500만원 이하/종합소득금액 4,500만원 이하 15% 공제

-총 급여 5,500만원 초과/종합소득금액 4,500만원 초과 12% 공제

-가입기간 5년 이상, 만 55세 이상부터 수령 가능

✅ISA

-의무 보유 기간 3년(납입한날X, 계좌를 개설한 날짜로부터 3년/일단 만들어두는게 좋다)

-제한적인 납입 한도/한도 이월 가능(연 2,000만원이 최대)

 

 

 

5️⃣당신의 '몸값'을 키워라

 

p.216 성과가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일을 '일단 대충 빨리' 시작하고 본다는 것이었다.

 

p.217 완벽한 때는 존재하지 않는다. 설령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 타이밍이 언제인지 알 수 없다. 그러니 일단 대충 빨리 일을 시작하는 습관을 가져보도록 하자.

 

p.218 일단 대충 빨리 시작하되, 결과에 연연해하지 않게 되었다. 야구방망이를 많이 휘둘러봐야 언젠간 홈런을 칠 수 있는 것처럼, 내가 하는 모든 실행이 쌓여 좋은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6️⃣당신의 이야기가 돈이 되는 순간

✅ 퍼스널 브랜딩: 나를 적극적으로 알릴수록 생각지 못한 기회가 더 많이 생겨난다.

✅ 나에게는 내 이야기가 너무 식상하고, 보잘 것 없어보여도 다른 사람에게는 신선한 소재가 될 수 있다.\

✅ 오히려 잘 모를때, 초반일수록 이런저런 시도를 많이 해보는게 좋다.

 

p. 235 지금의 명성을 얻은 이들도 포기하지 않고 시도를 계속 해왔기에 현재의 모습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니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야한다고 지레 겁을 먹지 말자. 일단 시작한 후 끊임없이 배워나가며 성장하면 된다. 당신의 시행착오를 항상 응원하고 싶다.

 

p.238 지금 돌이켜보면 난 참 오랫동안 '~하면'이라는 말로 스스로의 행복을 무기한 유예시켜오며 살았다. '연봉 얼마 이상이 되면...', '유튜브 구독자 얼마가 되면..' 등등, 마치 이 소망을 모두 이루면 숨어있던 행복이 한 순간에 나타날 것처럼 믿었다.

그런데 내가 한 가지 깨달은 사실은 절대로 이 소망들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거라는 거다. 하나를 이루면 또 다음 목표가 생길 것이고, 또 이를 위해 잠시 현재는 미뤄둔 채 앞만 보고 달려나가기 바쁠 것이다.

결국 현재에 만족하고 일상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사람이 목표를 이루어도 행복할 수 있는 것 같다.

 

 

 

[느낀점 및 적용할점]

 

우리가 하고 있는 투자 방식과 접목해 다양한 재테크에서도 비슷한 원리와 구조가 반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테크의 기본은 저축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킬 수 있었던 책이였다. 요즘 가계부를 소흘히 하면서 지출구조를 명확히 파악하지 않고 있었는데 다시 정리를 한번 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저자가 아무래도 인플루언서인 이유도 있겠지만 내 몸값을 올리기 위해 나를 퍼스널브랜딩하고 알려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는 점이 가장 와닿았던 것 같다. 항상 글을 쓸때 내 이야기, 혹은 어떤 이야기를 쓸때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이 너무 식상한가?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이 아닐까? 이런 생각 때문에 멈칫멈칫 하게 될때가 있는데, 누군가 단 한사람에게라도 도움이 되는 글이라면 가치가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더욱더 적극적으로 나를 알리면서 타인에게도 도움이 되는 나눔글의 빈도를 높여야 겠다고 생각했다.

 

너나위님께서도 월부학교 6강에서 투자금이 없을때, 그리고 3~4년차쯤 되었을때 성장하는 방법 중 하나가 타인의 투자를 돕는 것도 있지만 글쓰기를 해보라고 하셨는데 이번 에이스반을 하면서 글에 대한 벽을 깨보는 학기를 만들어야 할 것 같다. 망설이지 말자. 수시로 외부에서 QnA에서 튜터링에서 소재와 글감을 찾아서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겠다고 생각하지 말고 글 써보기!!

 

마지막으로 내가 원하는 순간, 내가 원하는 목표를 마음껏 향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의미가 있는 것이 돈이지, 그 자체로 목적이 될 수 없다. 내가 진짜 원하는 삶, 어떤 시간을 보낼 것인지를 생각하고 나의 삶의 목적과 방향성에 집중하자. 나는 어떨때 행복한 사람일까? 행복을 더이상 뒤로 미루지 말고 지금 당장 행복한 일, 오늘 당장 행복할 수 있는 일을 찾자. 현재 내 삶에 만족할 줄 알고 가진것을 소중히 하는 사람이 되자 :)

 

✅ 주차별로 글 1개씩 쓰기(최소 한달에 3개) / QnA 매일 답변 2개이상 달면서 소재찾기

✅ 저축, 지출 다시 점검하고 자동이체 세팅하기

 

 

 

 

[함께 나누고 싶은 발제문]

p.238 지금 돌이켜보면 난 참 오랫동안 '~하면'이라는 말로 스스로의 행복을 무기한 유예시켜오며 살았다. '연봉 얼마 이상이 되면...', '유튜브 구독자 얼마가 되면..' 등등, 마치 이 소망을 모두 이루면 숨어있던 행복이 한 순간에 나타날 것처럼 믿었다.

그런데 내가 한 가지 깨달은 사실은 절대로 이 소망들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거라는 거다. 하나를 이루면 또 다음 목표가 생길 것이고, 또 이를 위해 잠시 현재는 미뤄둔 채 앞만 보고 달려나가기 바쁠 것이다.

결국 현재에 만족하고 일상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사람이 목표를 이루어도 행복할 수 있는 것 같다.

 

▶ 투자생활을 시작하면서 어느 순간 행복을 뒤로 미루고 있지는 않았나요? 지금 당장 나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행복의 빈도를 높이기 위한 나만의 방법을 공유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


투명혀니
25. 07. 10. 22:45

헤헷 방금까지 읽고 있던 책이라 괜히 반갑네요 ㅎㅎ감사합니다 튜터님~♡

달님안녕o
25. 07. 11. 12:20

오 튜터님 이렇게 독서후기는 작성하는 군요~ ㅎ 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