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안녕하세요, 이제 막 부동산 공부를 시작한 수강생입니다.
대출관련 계산 강의를 듣고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DSR, DTI 계산 시 연소득이나 신용대출 등은 맞벌이 부부의 경우 합산 소득 및 합산 대출로 계산하여야 하나요?
아니면 각각 계산을 해야 하는 걸까요?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댓글
안녕하세요 루피님~ 내집마련 기초방늘 수강중이시군요! 첫 수강이신데 이렇게 Q&A 게시판 적극 활용하셔서 질문을 남겨주시다니 열정 최고이십니다! 내 집 마련 시 대출을 가용 할 때, DSR 계산 방식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우선 DSR, DTI 모두 소득 대비 부채 상환을 얼마나 할 수 있는지 보는 지표인데요~ 말씀해주신대로 DSR의 경우 부부 합산 소득을 활용하게 된다면, 소득이 높게 잡혀 대출 한도가 더 많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부채 또한 부부 합산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개인 소득/개인 부채로 했을 때와 + 합산 소득으로 했을 때의 예산을 구해볼 것 같습니다! 또한 DSR로 대출 한도가 늘어난다고 하더라도, 평소 소비 패턴을 고려하여 최대로 대출을 끌어온다고 하더라도, 내가 감당 가능한 예산에 속하는지를 계산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루피님이 성공적으로 예산을 구하고, 감당 가능한 범위 내에서 내집마련을 꼭 성공하여 노후대비와 꿈을 향한 디딤돌로 삼으시면 좋겠습니다!! 응원드려요!!
안녕하세요 국송입니다. 맞벌이 부부의 대출에 대한 궁금증이 있으신거군요! 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어서 여러 은행상담사와 상담을 통해 알게된 내용 공유드릴게요. 결론적으로 소득을 합산하실지, 단독으로 진행하실 지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대신 합산하시면 기존에 받으셨던 대출도 합산되어 DSR,DTI에 반영됩니다. 1) 혼인신고 했을 경우 먼저 대출을 받을 때는 한사람의 명의로 받아야 하는 것이구요 대출 신청 시 원할 경우 소득을 배우자와 합산하셔도 되는데, 합칠 경우 가지고 있는 대출도 다 합산되어 계산되는 점 참고하시면 될 듯합니다. 반대로 대출 신청 시 배우자와의 합산 없이 신청하실 경우, 대출도 합산되지 않는 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 혼인신고 안했을 경우 혼인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원하더라도 소득을 합산할 수 없습니다. 위 내용들은 주택이 없을 경우에 한정되어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25년 6월 27일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 1주택 이상인 세대에게는 주담대가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두 분이 혼인신고를 하셨고 두 분중 한명이라도 주택을 보유하고있으시다면 주담대 시행이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