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아는대로 행동하고 있는가?
1주차 너나위님 강의에 이어서
이 질문을 다시 자문해본다.
어쩌면 입지 요소를 기계적으로 보고있던 나,
강의에서 배운
직장, 교통, 환경, 학군, 공급
이 요소를 투자자의 생각을 갖고 본 것이 아니라
중요하다고 배웠으니까 등급을 매기는 것에만 집중했었습니다.
이번 실준 재수강을 통해
등급 외에 ‘투자자의 관점’으로
내 생각을 임보에 남기는 것에 집중해보는 것이 목표입니다.
다시 한 번 올바른 투자자의 방향에 대해
그리고 투자자의 관점에 대해 알려주신
권유디 튜터님 감사드립니다~!
[강의를 통해 알게된 점]
1. 입지개요 : 인구, 공급 소득에 대한 투자자 관점
- A지역의 생활권별 연령별 인구 분포를 파악하면서,
거주자들의 특징을 미리 파악해보자.
ex) 40대+10대가 많다면 학군 및 84평형대에 대한 수요
- 전입/전출 TOP3 지역에 공급이 많더라도,
A지역보다 위상이 낮다면?
그 공급은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
- 단지의 디테일한 소득을 파악하기 위해
주차장 외제차 눈여겨 보기
('주차장 진입하면 눈이 부신 느낌이 있었던가?')
2. 입지요소에 대한 투자자 관점
- 매번 3대 업무지구 접근성만 봤는데,
7대 업무지구를 처음 정리해보았다.
앞마당으로 넓히고 있는 부천에 인접한
구디/가디도 그 중 하나였다니...!
- 호재는 하락장에서는 찬밥, 상승장에서는 기름!
지금까지 호재를 따로 정리해본 적이 없는데
하락장인 현 시장에서 호재를 미리 알아둔다면
상승장에서는 어떻게 될까..? 흐흐
3. 분위기 임장이란?
#지리
#생활권 구분 및 입지
# 투자 우선순위 정리
[나에게 적용해 볼 점]
1. 입지분석 한 판 정리
- 입지요소별 등급과 수준을 적고
- 입지요소별 내 생각 남기기
- 그리고 그 중 핵심가치(선호 우선요소)를 파악하기
-> 비교평가할 때 핵심가치를 먼저 비교하자!!
2. 시세트래킹 선정 기준 적용하기
- 앞마당의 생활권별 랜드마크 단지와 투자금+@ 기준에 맞는 단지 선정
- 월 1회 꾸준히 트래킹 하자!
- 한다, 해낸다, 된다 !
댓글
원과장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