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스테이블코인 뜻·종류·전망 총정리! 트럼프, 이재명도 주목한 이유

  • 25.07.17

안녕하세요.

당신이 부자가 되는 곳,

월급쟁이부자들입니다.

 

비트코인 말고,

이제는 스테이블코인 시대가 온다?

 

최근 금융시장의 핫이슈는

단연 스테이블코인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활성화를 공약하자

카카오페이 같은 관련주가 급등했고,

 

스테이블코인 뜻·종류·전망
출처 : 카카오페이

 

미국에선 트럼프가 직접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밀고 있다니,

분위기가 심상치 않죠.

 

그렇다면 이 스테이블코인,

과연 미래의 화폐가 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앞으로도 가상자산에만 머무를까요?

 

오늘은 스테이블코인이 왜 주목받는지,

그리고 미국과 한국의 정책,

앞으로의 전망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1. 스테이블코인 뜻

 

암호화폐는 크게

1) 일반 암호화폐(비트코인, 이더리움)

2)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3) 스테이블코인

으로 나뉩니다.

 

스테이블코인은 쉽게 말해,

“가격이 덜 흔들리는 암호화폐”예요.

 

비트코인은 가격이 하루에도 몇 번씩 널뛰기하지만,

스테이블코인은 달러나 금 같은 자산과

1:1로 묶여 있어(*페깅) 화폐처럼 쓰기 좋습니다.

 

예를 들어 *테더(USDT)

1달러=1코인으로 발행되며,

발행사가 달러나 국채를 직접 보유

안정성을 보장하죠.

 

*페깅이란?

달러, 금 같은 자산에 1:1 비율로 묶여서

가격이 거의 변하지 않도록 만드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달러 = 1코인이라고 정해두면,

코인 가격이 달러와 똑같이 움직이도록

발행사가 준비금을 보유해 둡니다.

 

즉, 1달러어치 코인을 사면

발행사가 1달러를 대신 들고 있다가,

당신이 나중에 현금으로 바꿔달라고 하면

그 돈을 돌려주는 구조예요.

 

*테더(USDT)란?

'USDT = 1달러'

 

가장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

테더를 발행하는 회사가

달러나 미국 국채를 실제로 보유해서

“이 코인은 언제든지 1달러로 바꿀 수 있다”는

신뢰를 보장합니다.

 


 

2. 스테이블코인 종류

 

스테이블코인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뉘어요.

 

[담보형]

달러·국채 같은 실물자산 1:1 보유 (테더·USDC)

 

[알고리즘형]

공급·수요 알고리즘으로 가격 유지 (루나·테라)

 

하지만 2022년 루나·테라 폭락 이후,

시장은 담보형으로 완전히 돌아섰습니다.

 

지금은 테더가 시장 점유율 65%,

서클의 USDC가 25%를 차지하며,

달러 기반이 전체의 90% 이상이에요.

 


 

3. 스테이블코인,

왜 이렇게 주목받을까?

 

1) 국제 송금이 편해짐

기존에는 환전 + 수수료 + 2~3일이 걸렸지만,

스테이블코인은 수수료 몇 센트로,

몇 초 만에 끝납니다.

 

미국 유통기업 월마트는

연간 카드 수수료만 14조 원인데,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면

수익이 60%나 개선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어요.

 

2) 인플레이션 대안

화폐가 불안정한 남미, 아프리카 국가들은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사실상 달러 대체 통화로 쓰고 있습니다.


 

4. 스테이블코인,

미국 vs 한국 정책 흐름은?

 

[미국 – 트럼프의 ‘지니어스 법’]

트럼프는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으로 넣기 위해

1:1 담보 보유와 회계 감사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밀고 있습니다.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활성화되면

미국 국채 수요가 늘어나

재정 적자 완화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죠.

 

[한국 – 원화 스테이블코인 필요성]

이재명 대통령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강조하는 이유도 간단합니다.

 

지난해 수출 거래에서 원화 결제 비중은 고작 2.6%,

수입의 원화 결제 비중은 6.3%뿐인데,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퍼지면

원화 결제 수요가 더 줄어들 위험이 있거든요.

 

그렇지만 남아있는 숙제도 많습니다.

 

발행 주체 : 한국은행 or 민간 핀테크일지

규제: 미국처럼 담보비율 100%를 의무화할지

 


 

스테이블코인이 이렇게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편리함 때문만이 아닙니다.

 

세계 금융 상황이 불안해질수록,

달러나 원화처럼 안정적인 가치와 연결된 자산이

더 필요해지기 때문이죠.

 

스테이블코인 뜻·종류·전망
출처 : 경향신문

 

특히 미국은 최근 돈을 얼마나 풀지,

또 언제 거둘지를 두고 정책이 계속 바뀌고 있습니다.

 

만약 정책 판단이 조금만 어긋나도

주식·부동산·코인 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어요.

 

그래서 다음 글에서는

2025년 하반기, '정말 금융위기가 올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정리해 드리려고 합니다.

 

전문가들의 지금 시장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그 답을 아래에서 바로 확인해 보세요!

 

▼링크 눌러서 확인하기▼

2025년 하반기에 금융위기가 올 수도 있다고? 전문가 의견은…


댓글


월부Editor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