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2주차 과제까지 지투기, 역시 정말 빠듯하네요. 임장 보고서 50장쓰기 목표 달성 될지 조마조마한 한주였네요.
종잣돈을 더 빡세게 모으겠다는 투지로 이사를 하게 되었네요. 본가로 들어온게 잘한건지…벌써부터 ㅋ 본가 들어오니 힘드네요? ㅋ 이제 시작인데 ..버텨야지요…ㅋ
이런 저의 상태를 아시는지 3주차에 자모님이 저를 깨워주시네요. 귀에쏙쏙! 강의마다 어쩜 이렇게 제맘을 잘 아시고 하나씩 던져주시는지건지!! 너무 감사한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자모님께서 바로 방향을 잡아주시네요!
강의에서 배우는 지역을 투자로서 바라보는 관점!! 나는 어떤 투자자가 될것이냐? 수익을 내는 투자자가 될것이다! 방향잡아보자!!
지방 투자의 핵심은 뭔지??
그 지역의 특징 —> 한 문장으로 이야기 할 수있다
지방은 입지가 좋은 구가 정해져있으니 그냥 받아들여라!!
해운대구, 수성구 안되니까 너무 비씨니까 다음 구를 찾아라!! 범위를 넓혀야한다. (이런 부분을 정리할것)지방은 상품성이 중요하다- 어떤 브랜드,연식, 택지에 몰려있는가?
광역시 내 구별 투자 우선순위- 더 좋은 입지에 해야한다-그래야 매도가 잘된다
핵심은 지방은 지역별로 개별성을 띄고 있다 - 입지,연식, 브랜드, 위치(중심)
—>공급 물량의 시기와 양에 따라 지역의 시세와 상황을 확인하고 투자 우선순위를 정해야한다 , 돈을 버는게 중요하다.
투자에서 무조건 연식? 무조건 입지? 아니다!
지방 투자 공식= 입지+선호도
—> 단지별 선호도를 파악하여 투자 (입지 외에 선호도를 결정하는 요소 확인)
지방의 중심은 환경과 학군이 갖춰진곳
공급물량이 많아서 이미 바닥을 찍었던 시장—>앞으로의 전세가 정리 상황 고려하여 투자
돈벌 수있는 지역(수요를 끌어들이는 지역), 돈 벌수 있는 단지(전세 수요 탄탄, 선호도 있는 단지)인지가 중요하다
지방지역을 공부하는 이유는 미리 지역을 알아놓고 기회를 잡기 위해서 스스로 투자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해서, 이렇게 되려면 지역 별 비교평가를 할 수있어야함
지방 안에서 인구가 몰려 사는곳을 찾고 거기에 투자하는게 너무 중요- 지방은 외곽에 신도시가 생기면 그쪽으로 몰려간다-근데 외곽 신도시가 너무 위치가 멀다. 그럼 우리도 거기까지 쫒아가서 투자를 해야하나? 아니다!! 인구가 이동할수도 있겠다고 생각하고 전세를 운영해야한다. 갑자기 빈땅에 아파트 지을 수도 있다. 그럼 위치를 봐서 너무 외곽이거나 내가 투자한곳에 너무 가깝다 그럼 전세에 신경써야한다.
결론- 내가 투자한 물건의 전세를 신경쓸것!!
인구가 내 투자에 어떤 영향을 주느냐만 들고가자! 인구가 줄어들기때문에 선호도가 있는 단지에 투자해야한다!! 서울이든 대구든 다 똑같다. 지방은 인구수가 적기때문에 면밀하게 봐야한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연식이 좋은걸 택해야한다는거.
수요가 많으면 서울같은곳 구축투자 가능
수요가 적으면 신축투자 진행
100만이상 도시에서는 구축투자도 가능하다
광역시 안에서는 구축 투자범위안에 넣고 봐도 괜찮다! 하지만 입지가 너무 떨어지면 안된다는거
구축할거면 입지를 끌어올려!!
신축할거면 입지 조금 안좋아도 그 지역에서 선호하는 신축일테니 괜찮다
인구별 비율을 볼대 30-50대 인구가 어느구에 많은지 체크
두번째로 중요한 비율이 영유아 비율이 중요
—> 대부분 신도시가 영유아 비율이 높다. 중소도시는 외곽이여도 영유아 비율이 높은 신도시에 투자를 해야한다. 왜냐면 거기서 직장까지 왔다갔다하는 게 멀지 않다 중소도시가 사이즈가 작으니까. 중소도시 위주로 투자.
광역시 같은 경우 신도시가 생기면 영유아 비율은 높아질수잇는데 중심지에서부터 너무 멀어져버림. 광역시 안에서 신도시의 위치가 어딘지 봐야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