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공부인증

서울투자기초반 OT_스프링북

  • 25.08.01

-다주택? 2주택?

취득세 중과 3주택부터 중 된다. 8%로 중과!

 

투자를 하다 보면 취득세 중과라는 허들 때문에 다주택으로 가는 방향을 잡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같은 투자금으로 생각했을 때 3주택을 하는 것보다 2주택을 하는 것이 더 좋은 투자처일 것이다. 하지만

상승이 왔을 때 다주택이라는 규모 차이로 인해 더 많은 상승이 올 수 있다. 

현재 시장에서는 다주택이 어려운 정책이 나오다 보니 다주택 방향으로 가는 것은 보수적으로 잡으면 좋겠다.

투자 기준에 맞는 것 중에 가장 좋은 것을 사는 방향으로 하자.

 

-서울/수도권 아파트 가치 판단 기준

교통- 물리적 거리와 시간적 거리를 따로 보고 물리적 거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수도권 아파트 확실한 기준이 없다? 

  1. 강남. 한강에서 가까운가?
  2. 지하철 2,3,7,9,5 신분당, 수인분당선 이용하는가?
  3. 유해시설이 없는가?(있어야 하는 게 있는 것 보다 없어야 하는 게 없는 것이 더 중요하다)
  4. 거주하기 좋은 환경인가?
  5. 아이들, 학교 학원이 많은가?
  6. 신축인가?

대부분의 수도권 아파트가 1,2번에서 끝난다.

물리적 거리를 확인해 보고 단지의 가치를 본다. 비교 단지의 전고점을 확인해 보고 내 투자 기준에 맞는 단지를 

선택하여 투자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가치를 보는 것이다. 비교했을 때 가치가 더 좋은 단지가 투자금에 들어오지

않으면 투자 못하는 것이 아니라 덜 좋은 단지도 가치가 좋고 투자 기준에 들어오면 투자하면 된다. 

 

매매가와 상관없이 투자 기준에 들어오는 단지 중 가장 좋은 단지를 투자한다. 

좋은 걸 해야 한다. 

 

-매물임장 없이 비교평가해볼 수 있나요?

매물 임장을 해야 내가 좋다고 생각했던 단지의 실제 가치를 볼 수 있다. 

좋다고 생각한 단지 순위권 안에 넣는 단지들의 매물이 내 투자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잔금을 빨리 처야 한다던가

수리 비용이 많다 든다 등) 투자기 쉽지 않다. 

이런 것들을 볼 수 있는 것도 결국 실력이다. 그 실력은 평소에 매물임장을 하며 쌓이는 것이다. 

직접 가봐야 볼 수 있는 것들이 있기 때문에 꼭 가봐야 한다. 두려움을 깨야 한다. 

 

-구축 아파트 투자해도 될까요?

20~30년차 아파트의 미래가 궁금하시면, 30~40년 차 아파트의 흐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오래된 구축 단지도 현재까지 전세가가 올랐다. 급지가 높지 않은 곳도 그렇다. 투자할 수 있다.

 

-조급함

시장에 겸손하고 투자는 할 수 있을 때 하는 것.

시장을 예측 하는 것이 아닌 대응하는 것이다. 

투자는 할 수 있을 때 하는 것이다. 

이 정도면 괜찮겠다 싶은 건 어떻게든 해보는 것

여기서 최고의 물건을 찾겠다고 하지 않는 것

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을 다하며 시장 안에 남아 잇는 것이 중요

이 바닥에 오래 붙어 있는 것이 중요하고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목표를 이룬다. 

 

 

-느낀 점 

현재 규제들로 인해 마냥 걱정을 하고 있었는데 일단 시장에 들어가서 

겪어보고 느껴봐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수도권 아파트는 다 비싸고 내 투자금으로 들어오는 단지는 너무 안좋을 거 같고

오르지 않을 거 같다. 뭔가 더 좋아 보이는 지방을 투자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투자자 관점에서 내 투자금에 들어오는 것들 중 가장 좋은 걸 한다는 말씀을 듣고

적극적으로 시장에 참여하여 회피하기 보다 부딪혀 보는 것이 더 좋은 판단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울투자 기초반에서 꼭 성장하고 싶은 한 가지

규제의 두려움을 뚫고 투자할 수 있는 단지를 찾기 위한 노력을 하고 싶습니다. 

기존의 선입견을 버리고 투자자의 시선으로 지역을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길러 

내가 가지고 있는 투자 기준으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도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싶습니다. 


댓글


스프링북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