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숲을 먼저 보려고 노력하고 있는
숲과 나무
입니다~
2년간 월부를 하면서
처음으로
잠시 멈춤이라는 시간을 가지면서
많은 생각을 했던 것 같습니다.
1강을 해주신 권유디튜터님 말씀처럼
이번 한달을
"된다, 꼭 한번 해보겠다"
라는
마음으로 시작해 봅니다!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다르다!!
알고 있는 것을
행동으로
정확히 옮기는 습관을
목표로
가져보세요
-권유디-
메타인지
1.나의 단계를 알고
2. 그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기
지금 나에게 가장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합니다!
/
저평가의 디테일
가치에 비해 가격이 싸다면
저평가라고 합니다.
하지만,
저평가에서는
절대적 저평가와 상대적 저평가가 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그 기준을
확실히 알려주셨습니다.
환금성의 디테일
내가 필요에 의해서
매도를 시도할 때
현금화 시킬 수 있느냐 입니다.
좋은 급지에 있는 단지라 하더라도
흐름이 늦게 찾아오는
단지의
장단점을 들으면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투자 기준을 지키지 않고 투자를 이어나가게 되면
투자 지식이 얕아진다고 하셨습니다.
투자 기준을 철저히 지키는 투자자가 되어야겠습니다.
수익성의 디테일
수익률과 수익금에 대하여
디테일하게 배울수 있는 시간이였습니다.
과거 수익률을 보는 것이
현시점의 투자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려주셨습니다.
그리고
전세가와 매매가가
수익률과 수익금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이번에
확실하게 배울수 있었습니다.
원금보존성의 디테일
최악의 경우 어디까지를 생각해서
어떻게 판단하는게 합리적인지를 배웠습니다.
예시로 들어주신
단지의 경우들을 들으며
어떠한 상황이 생길수도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리스크의 디테일
지금 시장에서
어떠한 투자를 하여야 리스크를 헷지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었습니다.
투자자로서
리스크를 대비하는 자세가
중요하지 않을까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었습니다.
저환수원리의
투자기준이 모두 충족되는
물건에만 투자하는 투자자가 되어야겠다
다시 한번 더
다짐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환수원리의 원칙을 지키고 한
유디튜터님의 사례를
들었습니다.
유디튜터님께서
지금 전고점 이하의 물건이라면
내 투자금 기준으로 가치가 좋은 물건이 무엇인지를
판단해서 투자를 했으면 좋겠다고 하셨습니다.
거기에
6.27 부동산 대책에 대해서
투자자로서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접근을 하여서 대응하면 되는지
조목조목 짚어주시면서 설명해 주셨는데요~
위기를 기회로 바라볼 수 있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유디튜터님께서는
힘든 과정속에서 목실감과 독서를
놓지 않고 의지해 가셨다고 하셨습니다.
바쁘고 힘드니까
그냥 넘기려고 하지 않고
저도 꿋꿋하게 해 나가보겠습니다!
많은 인사이트 담긴 강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