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독모]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독서후기 [케빈드림]

25.08.15

1. 책의 개요

  • 책 제목 :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 저자 및 출판사 : 로버트 기요사키, 민음인
  • 읽은날짜 : 25.7.31 ~ 8.12 (재독)
  • 총점(10점 만점) : 10점

 

2. 책에서 본 것

[핵심 키워드]

#금융교육 #부채 #세금 #저축 #실수 #부채는비과세

 

[📖 Part1.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동전의 다른 면을 보라

세금과 부채는 빈곤층과 중산층을 더 가난하게 만드는 반면 부자들은 더욱 부유하게 만든다

 

[p64]

전 세계가 돈을 찍어내고 있다. 우리의 돈은 독과 같다. 오늘날 돈은 불안정해서 세계 경제에 불안을 초래한다. 

독과 같은 돈이 점점 늘어날수록 부유층과 빈곤층, 중산층 사이의 격차는 더욱 벌어진다.

부자들이 점점 더 부유해지는 또 다른 이유는 빈곤층과 중산층이 ‘작은 그림’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작은그림이란, “열심히 일하고 세금을 내고 저축하고 집을 사고 빚에서 벗어나고 주식시장에 투자하라”를 뜻한다.)

 

[p71] 부자들은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

돈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이 가장 높은 비율의 세금을 낸다.

 

[p89] 부자의 규칙을 따르라

누가 한 나라의 법을 만드는 지는 상관없다. 나에게 화폐 통제권을 준다면 법이야 누가 만들어도 상관없다.

항상 황금의 법칙을 기억하라. “황금을 가진 자가 규칙을 만든다”

 

[p91] 무지: 지식의 결핍

사람들은 대체로 세금이라는 주제를 무시하려 한다. 그들은 ‘무지한 상태로 지내기’를 선택한다.

부자들은 항상 똑똑한 것은 아니지만 그들은 적어도 그저 무지한 상태는 벗어나고자 한다.

 

[p111] 세금은 인센티브

E와 S 사분면에 있는 사람들은 더 많은 돈, 더 많은 수입, 더 높은 급여 그리고 보너스라는 인센티브에 반응하며, 돈을 위해 일한다.

반면, E와 I에 속한 사람들은 세금 혜택을 위해 일하며, 세금 감면을 통해 더 많은 돈을 번다.

 

[p113] “여기서는 그렇게 할 수 없어요”

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E사분면이나 S사분면에서 안주한다는 점을 기억하라. 

그래서 그들 대부분은 그렇게 ‘할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당신이 B사분면과 I사분면을 위한 금융교육에 투자한다면 당신은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상황을 바꿔야 한다. 주택 비용을 공제하기 위해서는 세입자에서 주택 소유자로 자신의 상황이 바뀌어야 한다. 세금 혜택 등의 다른 공제도 마찬가지다. 세금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이 올바른 위치에 있어야 한다. 부유한 사람들은 그저 빈곤층이나 중산층보다 좀 더 자주 올바른 위치에 있는 법을 배웠을 뿐이다.

 

[p129] 실수를 통해 더욱 똑똑해진다.

넘어지면서 걸음을 떼는 아기처럼, 나는 매일 넘어지고 스스로 일어나야 했다. 어떤 실수에서든 교훈을 얻으라.

성공하기 위해 실패를 넘어서야 했다. 이것이 바로 우리라는 ‘존재’가 변화하고 다른 사분면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포기하고 인간의 한계에 머무는 사람들'과 ‘부자의 단계로 성장한 사람들’의 차이를 이해해라.

 

[p148] 쇼핑은 언제 해야 하나

원하는 물건이 할인 중일 때가 ‘쇼핑하기 가장 좋은 때’라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화려한 세 자동차, 새 옷, 보석 등 자신을 더 가난하게 만드는 것들을 찾는다.

반면 부자들은 자신을 더 부유하게 만들어 줄 할인품을 찾는다.

 

부자들은 장기투자하거나 분산 투자하여 모든 것을 조금씩 사거나, 혹은 누군가가 사라고 하는 것은 무엇이든 사거나 하지 않는다. 

분산 투자는 무지에 대비한 보호수단이다.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있다면 굳이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

 

[p154] 어떻게 부채가 부자를 더 부자로 만드는가?

당신과 내가 돈을 빌려서 돈을 만들어 내야 경제가 성장하기 때문이다. 당신이 빚을 갚으면 경제는 축소된다.

또 다른 이유는 부채가 부자를 더 부유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만일 부채가 부자를 더욱 부유하게 만들지 않았다면, 부자들은 당신에게 신용카드를 발급해 주지 않았을 것이다.

=> 부자들이 좋아서 신용카드를 발급해 준 것이 아니다.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그들은 이자를 통해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에 외상을 해주는 것이다.

 

부채는 양날의 검이다. 부채는 당신을 부자로도 만들 수 있지만, 갑자기 상황이 바뀌면서 그 부채가 당신을 매우 곤란한 상황에 빠지게 할 수도 있다.

부채는 총알이 장전되어 있는 총과 같다. 당신의 생명을 구할 수도 있지만, 당신을 죽일 수도 있다.

 

“부채를 사용해 자산을 매수한다”라고 말하면 많은 사람이 “위험하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들은 100달러짜리 신발 한 켤레를 구매하기 위해 신용카드를 망설임없이 사용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를 느끼지 않는다.

 

[p162] 왜 부채는 비과세인가?

소득은 당신이 받게 되는 돈이며, 아무런 조건 없이 당신이 원하는 대로 쓸 수 있는 돈이다. 부채는 소득이 아니고 갚아야 하는 돈이다. 따라서 투자를 위해 돈을 빌린다면 그 돈은 실제로 비과세이다. 이런 이유로 부채가 자기자본보다 저렴한 것이다. 자기자본은 이미 세금이 부과된 당신의 돈이다.

 

[p167] 저축하는 사람이 패배자가 되었다는 확실한 증거

오늘날에는 유럽, 미국, 아시아에서 점점 더 많은 은행이 적극적으로 예금을 권장하지 않는다. 오늘날 유럽과 일본에서는 저축하는 사람들에게 보관료를 부과한다. 이것을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라고 한다. 나머지 국가들에서도 이를 따르는 일은 시간문제일 뿐이다. 이것은 저축하는 사람이 패배자가 되었다는 확실한 증거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결국 세상에 돈이 너무 많다는 뜻이다. 당신의 저축이 은행에게는 부채이기 때문에 은행은 당신의 저축을 좋아하지 않는다. 은행은 돈을 빌릴 줄 아는 채무자를 원한다. 그래서 이자율이 그렇게 낮은 것이다.

 

사람들은 1971년 이후 부채가 돈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채 여전히 돈을 저축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 금융 교육을 받지 않으면 사람들은 대부분 돈의 규칙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부채를 활용하여 부자가 되는 법을 배우면 극소수만이 경험할 수 있는 믿을 수 없는 힘을 얻게 된다.

 

[📖 Part2. 왜 돈의 언어를 배워야 하는가]

[p178] 문제는 돈이야 바보야

은행과 정부가 돈을 찍어 낼 때 돈의 가치는 떨어지고 생활비가 오른다는 사실을 알 것이다.

좋은 부채는 부자로 만들어 주고 나쁜 부채는 가난하게 만든다. 부채를 이용해서 부자가 되고 싶다면, 금융 교육에 투자해서 좋은 부채와 나쁜 부채의 차이를 알고 부채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

돈을 빌리는 사람이 없다면 세계의 화폐 시스템은 붕괴할 것이다. 은행이 저축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돈을 빌리는 사람들로부터 돈을 벌고 있다.

 

case1) 빚을 내서 집과 차를 샀다. 그게 나쁜 부채다. 나쁜 부채는 채무를 만든다. 나쁜 부채는 갚아야 하는 빚이다.

case2) 투자용 부동산을 매입하고 사업을 키우기 위해 부채를 이용했다. 그건 좋은 부채이고, 좋은 부채는 당신을 더 부자로 만들어 준다. 좋은 부채는 다른 사람이 대신 갚아주는 빚이다.

 

은행들이 오늘날처럼 이자율을 낮추는 것은 “저축하는 사람은 필요없다. 우리는 돈을 빌리는 사람을 원한다” 

저금리는 “돈을 빌리러 오세요. 돈이 할인 중입니다.”라는 메세지를 보내는 것이다. 저금리는 부자들이 더욱 부자가 되기 쉽게 해준다. 빈곤층과 중산층, 특히 저축하는 이들에게 저금리는 재정적 재앙을 의미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저축은 과세 대상이지만 부채에는 세금이 붙지 않는다. 이것이 부자들이 더 부자가 되는 또다른 이유다.

 

=> 은행과 정부가 돈을 찍어 낼 수 있게 된 이후로는 형편에 맞게 살면서 돈을 저축하는 것은 ‘의미 없는 일’이 되었다.

 

[p182]

소득보다 적게 지출해 형편에 맞게 생활하고 돈을 저축하는 것은 재정적으로 현명한 일이 아니다. 오늘날, 형편에 맞게 생활하면 빈곤층과 중산층은 더욱 가난해질 뿐이다.

 

[p202] 수입/지출/자산/부채/현금/흐름

어떤것이 수입, 지출 또는 자산 또는 부채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현금’과 ‘흐름’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입은 유입되는 현금’이고 ‘지출은 유출되는 현금’이다.

우리 부모님은 자산이나 부채가 무언인지는 전혀 몰랐고, 그래서 가난하게 살았다. 그들은 매달 돈이 어디로 갔는지 궁금해하곤 했다. 그들의 돈은 집이나 자동차 같은 물건을 사면서 빠져나가고 있었다. 그들은 그 ‘부채’를 ‘자산’이라고 부르고 있었다.

 

‘자산’은 일을 하든 하지 않든 주머니에 돈을 널어 준다.

‘부채’는 비록 그 가치가 올라가더라도 주머니에서 돈을 빼 간다.

=> 수입이 되는 현금 흐름이라면 자산이되고 지출이 되는 현금 흐름이라면 부채가 되는 것!

 

[p206] 부채와 현금흐름

‘자산’은 말 그대로 현금 유입을 일으키는 것으로, ‘부채’는 현금 유출을 일으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자산과 부채의 차이, 즉 현금 유입과 현금 유출의 차이를 당신의 순자산, 즉 재산이라고 부른다.

현금흐름의 방향을 통제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부자는 현금 유입을 통제하는 방법을 알지만, 빈곤층과 중산층은 현금 유출을 통제할 수 없다.

 

[📖 Part3. 진정한 금융 교육이란 무엇인가]

[p220] 일반소득, 투자소득, 수동적 소득

청년들에게 “학교에 다니고, 일자리를 구하고, 열심히 일하고, 돈을 저축하고, 퇴직연금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라”고 하는 조언에는 세금에 관한 금융 교육이 빠져있다.

“그러면 가장 높은 비율의 세금을 내야한다”라고 덧붙여야 한다.

 

“어떻게 하면 세금을 더 적게 낼 수 있는가?”, “진정한 금융 교육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유사한 질문들은 동전의 ‘옆면’에 서서 양쪽 면을 모두 볼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서도록 안내할 것이다. 거기에 서면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 부자들이 살고 있는 동전의 면을 볼 수가 있다.

 

[p230] 기업 임원진은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

직원들은 일반 소득을 위해 일하지만, 같은 기업의 임원진은 투자 소득을 위해 일한다. 이것이 부자가 더 부자가 되는 또 다른 이유다. 그 이유중 하나는 세금이다.

 

[p236] 그냥 해보면 된다.

그럼 항상 무언가를 배울 수 있을거야. 무언가를 해 본다는 건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단다.

 

[p243] 부채는 비과세

라는 점을 명심하라. 돈을 위해 일하기보다는 돈을 빌려서 많은 시간과 돈을 절약할 수 있다.

 

[p245] 부채는 유령소득이다.

부채에서 나오는 유령 소득이란, 돈을 벌기 위해 일하고 그 돈에 붙는 세금을 내면서 저축하는 대신에 ‘돈을 빌려서 절약한 시간과 돈’이다.

 

[📖 Part4. 포르쉐 경제학]

 

3. 책에서 깨달은 것

부자들의 규칙을 따르라.

황금을 만드는 자가 규칙을 만든다고, 부자들의 생각, 행동, 액션하는 법 등을 가진자의 생각 마인드로 실천해야 한다. 무지에서 벗어나 그것도 무엇보다 금융에 관해서 무지함을 벗어나야 한다. 그것이 투자든 일상생활이든 어떠한 물건을 바라보든 부자들의 규칙을 따른다면 부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현금흐름을 만들것

현금을 유출하는 것을 절제하고 현금이 유입되도록 자산을 쌓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집이라는 부채를 사는 것이 아니라 현금유입을 만들어줄 집(우리가 말하는 전세레버리지 투자)을 자산으로 가지는 것이 자산이냐 부채이냐의 차이를 만든다. 그리고 이는 일하지 않아도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효과를 내줄 것이다.

 

부채는 비과세

세금을 절약하는 것에서부터 수익률 계산이 달라지는데, 부채라는 비과세를 이용하여 세금을 납부하지 않는다면

그리고 필요한 돈을 일해서 버는 것보다 그 돈을 빌려 시간도 절약하고 세금도 내지 않아 돈도 절약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 이것이 바로 부자들이 돈을 위해서 일하지 않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4. 나에게 적용할 점(실행할점 1가지)

무지하거나 무시하는 빈자의 행동과 생각이 아니라 부자의 마인드로

금융교육에 대한 완전한 이해와 공감을 통해 돈을 위해서 일하지 않고 부채를 활용해 현금흐름을 유입되도록 만들겠다.

 

5. 기억하고 싶은 문구

#만약 네가 너의 돈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들이 네 돈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중산층이 경제적으로 힘들어하는 이유는 부자가 아니라 영업사원의 조언을 듣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이 잘못을 저질렀더라도 비난하지 않도록 해라. 비난은 감정적 지능이 낮다는 신호울 뿐이다.

#부자는 소득보다 자산에 더 집중하고 부채를 사용하여 자산을 획득하고 키운다.

#바보와 말다툼하면 똑같이 바보가 된다.

#은행과 정부가 돈을 찍어 낼 수 있게 된 이후로는 형편에 맞게 살면서 돈을 저축하는 것은 ‘의미 없는 일’이 되었다.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너 자신 먼저 바꿔라.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남은 인생이 결정된다.

#두려움의 대상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면 인생이 바뀐다.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다. 지금 시작해 보면 어떨까?

#지옥을 지나고 있다면 계속 나아가라


댓글


케빈드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