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인구수 + 세대당 인구수 질문입니다. (예시 강서구)

25.08.22

😂

안녕하세요 ~~ 

서투기로 앞마당을 만들고 있는 부린이 입니다.

임보작성 중 [인구] 챕터에서 막혀 질문 남겨봅니다. 현재 강서구 앞마당 만드는 중이라 강서구를 예시로 들었습니다.

 

 

지역에서 [인구]에 대한 정보를 확인 할 때, 

인구가 감소하는 특별한 요인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동 별 인구수와 동별 세대당 인구수를 확인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순서대로 임보를 작성하고 있었습니다….. 

 


 

 

  1. 강서구 인구수 증감 비율  => 네이버 검색으로 확인
  2. 동 별 인구수 => 행안부 주민등록인구 (연간 기간조회 적용 후 ) > 파일 다운로드 

<행안부 주민등록인구>

 

 

<다운로드 받은 파일 재 정렬>

 

 

 

행정기관 중복되는 셀 병합해서 동으로 나눠주고, 

세대당 인구수는 모두 더해서 동 옆에 기입했습니다. 

 

 

이렇게 계산 하는게 맞나요…? 

.

.

.

 

3. 세대당 인구수 => 엑셀에서 세대당 인구수 더한 후 등촌동의 경우 제1동 ~ 제3동까지 있어서 3으로 나누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나온 값이 1.9533333 입니다.

이렇게 계산 하는게 맞나요….?

 

결과를 지도 위에 올리고 나서 보니…. 인구수 + 세대당 인구수에서 모두 상위권에 있는 내발산과 염창에 거주민이 많을 것 같은데… 내발산과 외발산동은 작은 면적이고, 방화, 화곡동은 면적이 큰 동이라서 

절대적으로 나오는 값이 맞는지… 궁금했습니다. 

 

 

이렇게 하는거 맞나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제가 생각했을 때 좋은 동네 순위로 적용이 안되다 보니 너무 헷갈려용…. 

선배님들 도와주세요오오오오오~~~~~~~ 

 

 

 


댓글


지니플래닛creator badge
25. 08. 22. 16:06

안녕하세요 행복의 달인님 인구파트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일단, 데이터 가공은 지금 하신대로 하셔도 큰 무리는 없으신데 행정동과 법정동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서 인구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가 제공되는 행정동 기준으로 보는 것이 좀 더 정확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처음 해보시는 단계에서는 달인님 방법대로 해내신 것도 너무 대단하신 것 같아요. 그리고 세대당 인구와 좋은 곳이 일치하지 않아서 고민이 되신다고 하셨는데 수도권에서는 인구는 입지를 평가하는 요소가 아니라 '참고' 자료에 해당하고 세대당 인구는 지금 말씀하신대로 구역의 면적이나 단지 수에 따라 일반적이지 않은 값이 나오기도 해요. 꼭 좋은 지역이 절대 인구수나 세대당 인구가 높게 나오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 그래서 임장으로, 또 다른 데이터들을 참고해서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게 필요한 것 같아요. 수도권에서는 인구가 입지평가요소가 아님을 잊지마시고 있는 그대로의 데이터를 정리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는 '이 지역은 면적이 커서 절대 인구수는 많지만 세대당 인구수는 적다. 가족단위보다는 1-2인 가구가 많은것으로 보인다. 임장으로 확인해보자' 이렇게 코멘트를 써놓는 편입니다. 여러 지역을 반복해서 하시다보면 정리가 되실거에요. 달인님 화이팅❤❤

행복한노부부
25. 08. 22. 17:25

달인님 안녕하세요 :) 부린이라고 하셨는데 이렇게 직접 비교해보고 해나가시는 게 멋집니다💛 위에 지니님 댓글처럼 수도권에서는 인구보다는 직장,교통의 비중이 더 크고 정확하진 않더라도 많이 사는 동네 & 세대당인구수가 많은 곳을 크로쓰해서 어디에 가족단위가 더 많이거주하는 지 참고용으로 보면 좋을거 같아요! 응원할게요♡

행복한노부부
25. 08. 22. 17:25

달인님 안녕하세요 :) 부린이라고 하셨는데 이렇게 직접 비교해보고 해나가시는 게 멋집니다💛 위에 지니님 댓글처럼 수도권에서는 인구보다는 직장,교통의 비중이 더 크고 정확하진 않더라도 많이 사는 동네 & 세대당인구수가 많은 곳을 크로쓰해서 어디에 가족단위가 더 많이거주하는 지 참고용으로 보면 좋을거 같아요! 응원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