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그릿
저자 및 출판사 : 엔젤라 더크웍스
읽은 날짜 :2025.08.23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주요 인상깊었던 내용
p.76
내가 남들과 확실히 다른 점이 있다면 러닝머신 위에서 죽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 자세 뿐입니다.
나보다 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물론 나보다 재능이 많은 사람, 똑똑한 사람, 성적 매력이 넘치는 사람들이 있겠죠. 그 모든면에서 나보다 나은 사람도 있을거고 나보다 아홉 가지가 나은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나와 함께 러닝머신에 올라간다면 그 사람이 먼저 기권하거나 내가 죽거나 둘 중 하나입니다. 정말로요.
p.81
많은 이들이 시작했던 일을 너무 빨리, 너무 자주 그만두는 듯하다.
어느날 하루 기울이는 노력보다는 다음 날, 그 다음날도 눈을 뜨면 러닝머신 위에 올라갈 각오가 되어 있는 것이 더 중요하다.
p.84
탁월성에 도달하는데는 지름길이 없기 때문이에요. 진정한 전문 기술을 개발하고 대단히 어려운 문제를 이해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죠. 대다수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 이상의 시간이 걸려요. 그런 다음에 그 기술들을 적용해서 사람들에게 가치가 있는 재화와 용역을 생산해내야해요.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죠.
✔️ 요약
열정을 이어가는 끈기. 그릿 측정해보니 열정이 크지 않은데 지속성이 크다는게 나왔다.
이번에 책을 읽으며 느끼는 것은 나라는 사람.. 열정은 크지 않은데 시작하면 절제가 쉽지 않다는게 장점이자 단점
지속성이 크다는 건 장점같다.
- 나도 역경을 극복할 수 있다.(다른 책에서 봤던 ‘자신감 선언서’와 유사하다)는 마음과
- 내적 에너지원이 있어야(이 길이 맞다는 믿음, 내 자신에 대한 믿음)
-> 시수정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둘을 항상 명심하고 나아갈 것.
✔️본깨적
- 대단히 성공한 사람들은 굳건한 결의를 보였음
1) 회복력이 강하고 근면함
2)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매우 깊이 이해하고 있음
= GRIT이 있었음.
3) 잠재력, 잠재력을 ‘발휘하는 것’의 차이 : 그릿과 재능은 별개이다.
- 논문 ‘탁월성의 일상성’ : 최상급 기량은 수십개의 작은기술, 동작 하나하나를 배우거나
우연히 깨치고, 주의 깊은 연습을 통해 습관으로 만들고, 전체 동작으로 종합해서 나온
결과물임.
- 재능은 성공한 운동선수에게 붙이는 가장 흔한 ‘비전문가적’설명임.
- 성취 = 재능 X 노력^(2)
- 재능 X 노력 = 기술 -> 기술 X 노력 = 성취
- 일단 출석만 하면 8할은 성공이다
- 노력이야말로 재능을 기량으로 발전시켜주는 동시에 기량이 결실로 이어지게 해줌.
- 그릿은 강도보다 지구력.
- 1,2년 동안 똑 같은 에너지로 그 사업을 추진한 후에 이메일을 보내달라.
(이 분야에서 저 분야로, 이 기술에서 저 기술로 옮겨 다닌다면 그것은 그릿이 있는 사람의 행동이 아님. 탁월성에 도달하는데에는 지름길이 없음.)
- 열정에도 끈기가 필요함
- ‘당찬 포부’에 숨겨진 문제점 : 긍정적 환상은 장기적으로는 손해임.
- 목표체계가 단계별로 정리되고 통합되어 있을수록 좋음.
- 우선순위를 정하는 3단계
1) 직업상 목표 25개 쓰기
2) 자신을 성찰하면서 그중 가장 중요한 목표 5개에 동그라미치기
3) 동그라미 치지 않은 20개의 목표를 찬찬히 살피기
- 그릿을 기르는 4가지 방법
1) 관심 2) 연습 3) 목적 4) 희망
한동안 일해보고 상당히 깊이 관여해봐야 미묘한 사항들을 알게되고,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일도 많음.
1) 아동기에는 너무 어려서 커서 뭐가 되고싶은지 알지 못함
2) 관심사는 자기 성찰을 통해 발견되지 않음, 오히려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이 계기가 되어 흥미가 생김
3) 관심사를 발견한 뒤 오랜 시간 주도적으로 관심을 발전시켜야함.
최고가 되고 싶다면 ‘의식적인 연습’을 하기
- 자기 분야에 대해 알아갈수록 하루하루 향상되는 폭은 경미해짐
1)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전체 기술 중 아주 일부분에 집중
2) 연습자체가 재미있고 즐겁다면 은퇴후에도 연습을 계속할 것임
- 투지가 강한사람은 의식적인 연습을 더 많이하고, 몰입도 더 많이 경험한다
1) 의식적인 연습은 행동이지만 몰입은 경험이다.
2) 의식적인 연습을 하는동안 몰입을 같이 경험할 필요는 없다.
- 도전 과제를 능가하는 기술 수준에 도달하겠다는 목표로 수년간 연습한 결과가 실전에서 이를 달성하는 몰입의 순간으로 이어진다
- 투지가 강하면 -> 의식적 연습을 한 시간이 더 길었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