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 투자금에 맞는 아파트 3개 찾아보기
아실 사이트 혹은 앱에 접속 https://asil.kr/
*우측 가이드를 참고해보세요 :)
2. 3개 단지 과거 수익률 계산하기
*지방인 경우 5년 전(2020년) 과거와 현재 가격 비교,
수도권인 경우 10년 전(2015년) 과거와 현재 가격 비교
단지명 : 신명스카이뷰
과거 매수가격 : 2억2천
과거 전세가격 : 2억
현재 매매가격 : 3억1천
현재 전세가격 : 2억6천
시세 차익 : 9천
전세 상승 : 6천
수익률 : 450%
연수익률 : 45%
단지명 : 삼도세라믹
과거 매수가격 : 1억3천
과거 전세가격 : 1억
현재 매매가격 : 1억8천
현재 전세가격 : 1억4천
시세 차익 : 5천
전세 상승 : 4천
수익률 : 133%
연수익률 : 13.3%
단지명 : 우성꿈그린
과거 매수가격 : 1억7천
과거 전세가격 : 1억4천
현재 매매가격 : 2억
현재 전세가격 : 1억7천
시세 차익 : 3천
전세 상승 : 3천
수익률 : 100%
연수익률 : 10%
가장 수익률이 좋은 단지 :
신명스카이뷰
3. 3강 듣고 느낀점, 적용할 점
무엇인가 엄청나게 깔끔하게 정리된 느낌입니다.
다만 22년쯤 경기와 지방의 집값이 다 훅 떨어졌던데요.
22년 이후로 조금씩 다시 올라가는 듯 싶은 그래프를 보이는데,
이때 무슨 일이 있었었는지 궁금해졌고
또 22년 이전이 현재보다 더 집값이 올랐던 상황이면 이 아파트의 가치는 떨어지는 것일까요?
궁금한 점도 많이 생겼고 좋은 공부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와, 허슬맘님 마지막에 고민되는 부분까지❤ 과제완료 하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한국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많은 돈이 풀렸는데요 이 때문에 현금이 많아지면서 인플레가 심해졌고, 집값이 올랐었죠 그때가 저희가 기억하는 대세상승장이었습니다. 이후 22년부터 금리를 올리는 등 유동성을 조이는 정책이 시행되면서 다시 전국적인 부동산 하락이 왔었습니다. 궁금함까지 과제로 남기신 허슬님 멋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