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부동산Q&A

기존 세입자와 갱신계약을 할지, 새로 전세를 맞춰야할지 고민입니다.

25.08.31

안녕하세요. 이제 막 열기반 기초반 수강을 시작한

부린이입니다.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하면서 너무 재미있고 또 올바른 기준을 가지고 투자를 꼭 하고 싶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저희는 20년도쯤 

전세끼고 매수한 아파트가 한 채 있는데요.

실거주 목적으로 샀지만 계속 금리가 오르고

하락장이었어서 입주는 하지않고 

계속 세를 주며 보유중입니다.

 

현재상황은 이렇습니다.

25년 11월에 기존 전세가 한번 만료되고

5프로 내 보증금 인상후 갱신계약 할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세입자분께서 타지역 청약이 되신 상황이라

입주기간까지 8개월 정도가 남는다며

전세만료후 연장이 되는지 물어보십니다.

 

  1. 저희는 이번 갱신계약이 끝나면 그 아파트에

실입주할 생각도 있어서, 사실 아이 전학 시점을

고려했을때 연장하는게 그리 좋은 상황은 아닌데요.

연장을 해드리면 저희가 월세로 8개월에서 10개월

정도를 돌아야 합니다.

 

2. 신규 전세계약을 맞추면

2년 뒤 세입자에게 또 갱신청구권이 생기고,

매매나 전세가가 오르는 시장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매도하기에 불리하거나  

전세가도 5프로만 올릴수 밖에 없어

불리한 조건이 아닌가 고민이 듭니다.

 

3. 아이 학업을 위해서는 그 집이 아니어도

그 주변 전세로 갈수는 있지만, 마찬가지로

전세가 계속 오르는 시장이라면 실거주할 집을 

놔두고 전세로 도는게 비용적으로 유리한건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선배님들이라면 어떻게 하실지 궁금합니다.

당장 며칠내 재계약을 할지 말지 

세입자분께 말씀을 드려야해서

마음이 답답하여 이곳에 고민을 올려봅니다.

선배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ㅠ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오르디
25. 08. 31. 13:40

채채님 안녕하세요! 보유중인 아파트 전세계약을 한번 더 돌릴지 말아야 할지 고민중에 계시는 군요. 현재 기존 세입자분께서는 25년 11월~27년 11월까지 2년 갱신 + 8개월을 원하시는 상황이고, 채채님께서는 27년 11월 실거주 입주를 할 생각이신 상황에서 기존 세입자분의 8개월 추가 거주를 거절하면 25년 11월 새로운 신규세입자를 구해야하는 걸로 이해를 한 상태에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저라면 8개월 월세비용과 이사비용까지 들여가면서 기존 세입자의 상황을 배려하지 않고, 신규세입자를 맞출 것 같습니다. 신규 세입자가 갱신권을 갖게 되더라도 집주인이 실거주로 들어가게 될 경우 6개월 전에 미리 말씀하시면 갱신 청구를 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실거주집을 놔두고 주변 전세로 들어가는 것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계신데 보유하신 집보다 더 낮은 가치의 집으로 들어가셔야 보유하고 있는 집의 전세가 상승으로 전세를 구해서 들어가시는 전세가 상승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될 경우 실거주 만족도가 떨어지는 부분도 같이 고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라이프리
25. 08. 31. 17:14

채채님 안녕하세요 ~! 아이 학업을 위해서 지급 보유한 집이 아니더라도, 주변 전세로 들어갈 생각이 있으시다는 점은 거주분리를 함으로써 가지는 메리트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보통 거주분리를 통해 주택을 보유하는 것은, 투자물로 자산증식의 목적을 가지고 세를 주고 본인은 원하는 지역이나 생활권에 전월세로 사시는게 보통인데, 현 상황에서 추가투자를 희망하셔서 자금이 필요하신게 아니라면, 세입자만기시 퇴거하고, 채채님께서 실거주하시는게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혹시나 추가 투자나 방향성에 대해서 고민이시라면, 투자코칭을 받아보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 모쪼록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빠이팅이세요 !!

엠쥬
25. 08. 31. 19:21

채채님 안녕하세요 다른분들도 얘기하셨는데요 채채님이 먼저 불편한점을 고려하시는거라면 현재 세입자분의 요청대로 해주고나서도 계속 후회하실수도 있을것같습니다. 채채님. 몇가지의 경우에 대한 나의 편익과 비용을 노트에 기재해보시면서 결정해보세요 두분 모두에게 합리적인 결정이 이루어지길 바랄께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