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수강후기

[실전32기 임장지 태양을 적시러 언Jㅔ든Jl 9o하조 푸른별여행자] 5강 강의 후기

25.09.01

 

 

안녕하세요. 😀

견고한 투자자를 꿈꾸는 푸른별여행자입니다.

 

그 뜨거운 여름도 지나가고 있고 

어느덧 실전반도 끝지점이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너무나도 감사하게 5강 오프강의 초대에 선정이 되었지만

업무 일정상 휴가를 쓸 수 없는 상황이라 아쉽게도 

온라인으로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질의응답으로 강의가 진행되었는데요.

멘토님께서 가장 많이 하신 말씀이 

‘현재는 투자하기 좋은 시기’ 

였던 것 같습니다.

 



바로 지금이 기회!!

 

 

"지금은 정말 좋은 시장이에요.

도곡렉슬을 2억으로 살 수 있었던

2015년-16년으로 돌아가면 뭘 할 것 같나요?

저라면 임장 정말 열심히 갈 것 같아요."

 

 

6.27 규제로 인해 가격이 주춤하는 곳도 있는데요.

앞으로 수도권 가격 흐름은 어떻게 변할까요?

이 분위기는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멘토님께서는 어려운 상황에서 

기회를 찾으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어려우면 포기를 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이 와중에도 팔아야 할 사람은 있고

그 물건을 잘 만들어서 투자하면

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점점 양극화가 심해지는 

뒤숭숭한 시장분위기에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막연한 걱정은 

저같은 주린이라면 안할 수가 없는데요.

 

이번 강의에서는  

과거의 시장을 통해 

많은 인사이트와 약간의 안도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KB시세를 살펴보면 과거와 현재의 

시세 흐름이 놀랄 만큼 비슷하게 형성된다는 점이였는데요.

지금과 너무 유사해서 놀랐습니다.

과거의 시장을 복기했다면

앞으로 수도권 시장 흐름이 어떻게 흘러갈지

알게 될 것 입니다.

 

 

투자를 오래 하는 방법에 대하여

 

멘토님께서는 투자를 해나가면서

좋아하는 것이 되었고,

열심히 하다보니 잘하는 것이 되었으며,

돈이 되는 일이 되었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결국엔 좋아하는 일을 계속 했더니 잘하게 되고 그것으로

돈이 따라오니 지속이 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 줄 수 밖에 없는 거구나~ 를

알게 되었는데요.

 

 다시 돌아와 고작 5개월째 

월부생활을 하고 있습니다만

튜터님의 말씀을 들으니

level 1. 투자가 좋아질 때 까지

열심히 하고 싶다는 

의지가 뿜뿜 생겼습니다.

 

level 2. 투자를 잘하게 시점도 

의지를 불태우며 레벨업 시켜보겠습니다.

 

강의 중에 스스로를 믿지 못해 루틴을 믿는다

멘토님의 말씀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루틴을 믿고 묵묵히 가보겠습니다. 

 

 

결국엔 땅을 사는 것!

 

이번 실전반 활동을 통해 머리 쥐어짜며 

비교평가를 제일 많이 해본 것 같은데요.

내가 갖은 투자금으로 가장 좋은 단지를 찾기 위해선

꼭 거쳐야하는 단계인 것 같습니다.

 

또 기억에 강하게 남았던 말씀 중에 하나가

'수도권은 결국 땅을 사는 것' 이란 말씀이였는데요.

 

시간이 지나면 결국

 입지만 남는다는 말씀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멘토님^^

🙇‍♀️🙆‍♀️🙇‍♀️ 

 

 

 

 

슬럼프는 열심히 했을 때 받는 선물이다🎁

왔구나~ 하고 토닥여주면 된다'

-주우이


댓글


아잘리아
25. 09. 03. 11:16

저도 이번 강의에서 와닿았던 말씀들이 많이 있네요!! 여행자님~ 멀리서 오가며 원씽과 첫 실전반 멋지게 해내시는 모습보고 정말 단단한 분이시구나,, 생각했어요. 한달 정말 고생 많으셨어요! 해냈다아!!🩷🩷 다음달 수도권 임장도 응원하고 있을게요~ 지역이야기 같이 많이 해요~~^.^

제이든J
25. 09. 03. 16:15

여행자님 이번 한달 넘 고생 많으셨어요 첫 실전반이 아닌 것 처럼요 ㅎㅎ 수도권 투자 이루실 겁니다

블랙스완
25. 09. 04. 05:33

결국 땅을사는것 ! 여행자님도 서울경기도 어딘가에 땅을한번 사보시죠 !! 1호기 파이팅 입니다 !!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