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2번째지만 역시나 너무나도 읽기 힘들었다. 같은내용의 반복, 반복, 반복과 사례… 내가 부족해서 그런것이겠지?? 책에서 나온 몰입의 결과나 행동의 결과 혹은 과정을 겪지는 못했지만, 기본적으로 투자가 아닌 나의 업에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던 시절을 떠올려보면 책에 나오는 몰입이란것을 행하고 경험했던것 같다. 그리하여 몰입의 효과나 결과 성취 등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바이다.
⭐️ 핵심 3문장 ⭐️
[📖 Part1. Work Hard에서 Think Hard로 ‘생각’을 이동하라]
(p33)
엔트로피 법칙으로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바로 세상 모든 것은 자연스럽게 확률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엔트로피가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경향에 맞서 이를 감소시키려는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우리는 타락이나 쇠퇴의 길로 빠지게 된다. 따라서 타락하거나 쇠퇴하지 않으려면 엔트로피가 증가하려는 경향에 맞서 이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p35~37) 인생에서 가치있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우리가 정상에 다다른 순간 성취감, 상쾌함 등 커다란 쾌감을 느끼는 것은 더 이상 오르막을 오르지 않아서 고통이 사라짐과 동시에 그동안 함께 쌓인 도파민, 엔도르핀과 같은 신경전달물질들이 과잉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때 느끼는 쾌감이 강한 호감을 불러일으키고 이내 우리 뇌 속에는 좋은 기억으로 저장된다. 이와 같은 매커니즘으로 인해 오르막에서의 고통이 정상에서의 강한 희열로 기억이 대체된다. 오르막을 오르는 동안은 작은 고통이 오랜시간 누적되지만 정상에서는 순간적으로 강한 희열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르막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은 잊히고 정상에서의 강한 자극을 기억하게 된다. 그 결과, 산행에 대한 좋은 기억을 갖게 된다.
본능을 거스르고 기꺼이 오르막을 오를 수 있는 메커니즘은 이 방법밖에 없다. 반드시 오르막 혹은 힘든 시간 후에는 짜릿한 성공을 경험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어야 한다.
어떨 때는 아무리 노력해도 성적이 떨어지기도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나? 이때 필요한 것이 몰입이다. 몰입은 결과에 집착하기보다 공부하는 과정을 즐기며 최선을 다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좋은 결과가 따라온다.
(p50)
‘자기 사업’이라는 말을 ‘자신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바꾸면,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문제를 풀고, 자기만의 답에 이르기 위해서는 그 하나의 문제에 고도로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p63)
과제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실력 또한 월등하게 높아져야 몰입에 이를 수 있다. 실력을 월등하게 향상시키려면 집중도도 훨씬 더 높아져야 하기 때문에 의도적인 몰입이 필요한 것이다.
(p91)
본능에 이끌리는 자연스러운 삶의 행로는 끝내 실패한 삶으로 귀결된다. 엔트로피 법칙에 따르면 우리의 습관은 내리막이기 때문이다.
[📖 Part2. 본격적인 몰입을 시도하기 위하여]
(p172-173) 천천히 생각하기
적당한 걱정이나 스트레스는 그 문제에 몰입하게 만들고 몰입된 상태에서 높은 문제해결력을 보여주지만, 과도한 걱정이나 스트레스는 오히려 위기감을 조성하고 고통스러운 감정을 느끼게 한다. 분명한 것은 걱정이나 스트레스 자체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이 유도한 몰입 상태가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것은 몰입이지 걱정, 스트레스 또는 위기감이 아니다.
이를 위해서 추천하는 것은 ‘슬로싱킹’. 즉, 천천히 생각하기다. 명상을 하듯이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힌 다음, 자신이 고민하는 문제를 아주 천천히 생각한다. 자율적으로 몰입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천천히 생각하기가 가장 효과적이다.
(p194) 세렌디피티
위대한 발견을 이끄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통상 우연히 떠오른다.
(p211)
장기간의 몰입을 경험해보지 않은 사람은 자신이 가진 잠재력을 모두 동원하면 어느정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알지 못한다. “Work Hard” 패러다임에서는 평생을 해도 얻을 수 없는 성과를 “Think Hard” 패러다임으로 불과 수개월 만에 얻을 수 있다.
[📖 Part3. 몰입은 뇌와 인생을 춤추게 한다.]
(p229)
우리가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목적지향성을 고려하면 몰입도를 올리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요소는 바로 뚜렷한 목표와 성취 동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어떤 목표를 정하면 맹목적으로 그 목표를 추구하는 본능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목표 의식을 강화시켜 성취 동기를 북돋는 노력이 궁극적으로 자신의 일에 대한 흥미와 수행능력을 올리는 결과로 이어진다. 어릴 때 꿈을 크게 가져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p383) 최선을 다해야 할 때
‘충반한 잠을 자고 낮에 졸릴 때는 선잠을 자는 대신, 깨어있는 시간동안에는 1초도 쉬지 않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몰두하는 것!’ 이러한 행위는 긴장하고 무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천을 지속할 수 있고, 결국 강한 몰입으로 이끌기 때문에 행복한 최선이라고 할 수 있다.
(p67) 어떻게 하면 후회하지 않는 인생을 살 수 있을까
“실패한 한 달 뒤에는 그 다음 달이 있고, 실패한 한 해 뒤에는 그 다음 해가 있지만, 실패한 인생 뒤에는 그 다음 인생이 없기 때문에 위로받을 방법이 없다”
(p232)
항상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일에 대하여 습관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의 일에 대한 성취 동기가 높고 좋은 결과를 얻는다.
⇒ 내가 경험한 바로 그것 아닌가???
(p272)
인생은 죽음을 향해 질주한다. 결국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죽기 시작한다.
죽음에 대하여 내가 저항 할 수 있는 방법은 서서히 다가오는 죽음에 대하여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살아 있는 동안 가장 삶다운 삶을 사는 것. 살아있음이 나의 유일한 기회이기 때문이다.
⇒ 죽음이란 철학에 대해서 또한 삶이란 것에 대해서 생각해보며 죽음을 통해 삶의 진정한 가치를 알고 최선을 다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다시 깨닫게 되었다.
#창의성 발현을 위해서는 밤늦게까지 깨어 있기보다 일찍 잠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고도의 몰입상태에서 아이디어가 나오는 데, 고도의 몰입상태에서 서너시간 자고 일어나면 아이디어가 가장 많이 떠오른다고 한다.
#1초도 쉬지 않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몰두해보기!
절대적이면서 행복한 최선을 지속하는 것은 삶에서 매우 유용하다. 아무리 위급하고 중대한 상황이 닥친다고 해도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고 흔들림없이 실천하면 되는 것이다.
⇒ 1초도 쉬지 않기는 어렵겠지만, 지속적으로 몰입하는 삶이라면, 위급한 상황에서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다.
#자신의 목표를 이루겠다는 강한 의지와 몰입을 하면서 얻어지는 자신감이면 세상에 풀지 못할 문제가 없다.
#생각없이 열심히 노력만 하려고 하지 말고 머리를 써라.
#무엇을 모르는지 알아야 문제 해결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