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2주차 강의도 정말 알찬 내용이었다.

 

그간 들어왔던 저환수원리..? 무슨 원리 인가 했더니.. 약자였다~ㅎㅎ

 

  • 저평가 여부(가치>가격)

    - 가격은 비슷한데 가치가 높은 것, 같은 가치인데 가격이 더 낮은 것 → 가치평가

    - 2개 이상 비교평가 → 그래야 하나에 꽂히지 않는다. 설령 물건을 놓치더라도 더 좋은 물건이 오겠지.. 생각하라.

  • 환금성 (현금으로 빠르게 청산할 수 있는가)

    - 부동산은 환금성이 낮은 편이나 아파트는 그나마 낫다.

     (환금성이 낮은 물건은 피하자 - 오피스텔, 도생, 지산, 나홀로아파트, 1,2,3,탑층(특히 구축))

    - 부동산에서 가장 어려운 때가 매도 안될 때.

    - 은퇴하고는 월세가 좋지만, 종잣돈 만들때는 시세차익이 제일 좋음.

  • 수익률=수익금/투자금(매매가-전세가)

    - 72의 법칙=원금이 2배가 되는 시간 

     예) 72/20%(수익률)=3.6년 

    - 내 실력은 10년동안 평균 수익률. → 매도가 중요하다(장기보유!!!!!)

    - 가치있는 저평가된 물건을 매수했다면 기다려라!! 사이클을 이해하자!!

  • 원금보존 -잃지 않는 것. 전고점 대비 15% 빠진곳은 사도 좋다. 

    - 통화량이 늘면서 물가, 전세가, 부동산 가격은 장기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

    - 안전마진 확보 - 너무 높은 전세가율은 역전세를 맞을 수 있다.

      (서울 전세가 60%, 강남 50%, 지방 80%)

    - 다시 한번!! 가치 있는 부동산을 매수했다면 가격이 하락하거나 오르지 않더라도!! 존버하라!! 

  • 리스크 관리

    - 조급함과 무지함과 탐욕은 리스크를 부른다.

    - 역전세 - 전세금 욕심은 버리고, 너무 적은 갭은 피하라. 

    - 대량공급 - 3년이내 입주물량 확인(부동산지인,호갱노노) 입지독점성

    - 급격한 전세상승 - 무리한 전세가는 노노! 전세금 5% 상승은 좋은 것 같다. 전세보증금 전에 5~10% 보유

    - 수익시기(상승시기) - Who knows? 운의 영역- 고정적인 수입(급여)의 중요성

     

>> 나의 가장 큰 리스크는? 

  • 투자에 대한 무지(편익과 비용을 계산하자) → 근데 투자를 쉽게 생각함. 내 자산 중 가장 큰 돈이 들어가는 건데도 말이다. 
  • 리스크를 두려워한다. 

    -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 아무런 리스크를 지려고 하지 않는게 최악의 리스크다.

 

>> 또 하나의 인사이트

  • 인구감소하면 집들이 텅텅 비는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 그러나 다들 아파트에 살고 싶어하지 않는가.. 환금성이 낮고 관리가 어려운 다가구부터 비겠지.. 

    너바나님의 이 말씀에 그래서 아파트 투자를 하라고 하시는구나! 무릎을 탁!! ㅎㅎ

     

==> 저환수원리 원칙을 꼭 기억하자! 급매라고 해서 혹하지 말고!!!

 

배우면 배울수록 잘했다는 생각이 들고, 완벽이 아닌 완료주의로 꼭 투자를 실행에 옮겨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올해 안에 1호기 도오전~!!!! 


댓글


말해초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