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추천도서후기

[열중 47기 5늘도 독서하며 돈그릇 3배로 키워 나가조_굿모닝제인] <몰입>

25.09.17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RHK 

3. 읽은 날짜: 2025.9.16.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5. 위 점수를 준 이유: 가치있는 삶, 행복한 일상을 사는 방법에 대한 책. 

 

STEP2. 책에서 본 것

[1장. Work Hard에서 Think Hard로 ‘생각’을 이동하라] 

하나의 문제를 가지고 끊임없이 생각하는 것이 몰입의 본질이다. 이 책에서 등장하는 아인슈타인과 같은 세계적인 석학들, 배우지도 않은 미분을 스스로 풀어낸 학생들은 끊임없이 하나의 문제를 생각했다. 이렇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은 저절로 발휘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능력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해보이는 수준의 일을 하도록 강요받지 않으면 내 안에 숨어있는 능력을 활용할 기회가 영원이 없는 것이다. 열심히 일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열심히 생각하는 것이다. 

 

[2장. 본격적인 몰입을 시도하기 위하여] 

문제 설정. 미해결된 문제 중 중요하고 핵심이 되는 것을 설정한다. 몰입적 사고를 시도하기 몇 주 전부터 관련 책을 읽고 공부를 조금씩 하는 것이 좋다. 배경지식이 많을수록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문제 해결할 때는 ‘어떻게’ 보다는 ‘왜 그렇게 되는가’를 위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몰입을 하기 위한 환경을 만든다. 불필요한 정보는 차단하고, 가급적 약속도 잡지 않는다. 혼자만의 시간을 설정하고, 규칙적이고 땀흘리는 운동을 해야 하며, 단백질 위주의 식사를 한다. 그 이후 완전한 3일간의 몰입을 하는데, 잠자리에 들 때까지 그 문제를 생각하며, 새벽에 깨더라도 그 문제를 생각하다가 떠오른 아이디어를 메모하고, 아침에 깰 때도 그 문제를 생각하면서 깬다. 다만 잠은 부족하지 않도록 한다. 저녁 시간에는 한시간 정도 땀흘리는 운동을 하고, 샤워, 식사 후 편한 자세로 앉거나 누워서 생각을 이어간다. 몰입상태가 100%가 되었을 때는 잠에서 깨어날 때 이미 그 문제를 생각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3장. 몰입은 뇌도 춤추게 한다.] 

몰입에 대한 접근방식도 중요하다. 위기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며 몰입하기보다는 열애 하듯, 보다 능동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만약 위기상황이라 하더라도, 주어진 상황에서 걱정만 하기보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분하고 냉철하게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집중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할 확률이 더 높다. 쫓기는 사슴과 쫓는 사자의 몰입이 분명 다른데, 우리는 의도적인 노력을 통해 수동적 몰입을 능동적 몰입으로 바꿀 수 있다. 우리는 죽음을 향해 가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매일 충실한 삶을 살아가야 하겠다. 

 

[4~5장. 교육과 몰입, 직장생활과 몰입] 

저자는 교육과 직장생활 내에서 생각하는 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학생들에게 난이도 높은 문제를 계속 제시하면서 깊은 사고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 그리고 직장 내에서 직원들이 끊임없이 생각하도록 하는 것이 성과를 내는 사례를 보여준다. 

 

[6장. 몰입에 이르는 다섯 단계] 

일단 10분, 20분 정도를 차분히 앉아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급선무다. 10분 동안 하나의 문제를 집중해서 생각하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당장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생각해서 풀려고 연습하면 처음에는 실패하겠지만 어느 순간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생각만으로 문제를 푸는 경험을 하게 된다. 직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업무 수행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면 절대 포기하지 말고 그 문제에 대해 20분간 먼저 생각해보는 연습을 계속 해보자. 어느 순간 문제를 풀 수 있는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이다. 그 이후에는 10분을 20분, 20분을 2시간, 그 다음에는 하루종일 생각하는 연습을 해보자. 이 때 좋아하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매일 1시간 하는 것이 매우 큰 도움이 되는 필수요소다.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고, 운동을 통해 삶과 일에 대한 의욕을 만들자. 하루에 한시간을 운동하면 저절로 삶과 일에 대한 의욕이 생긴다. 그 다음엔 풀리지 않는 문제를 7일간 생각하며 몰입해보자.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몰입해서 생각하는 것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일상을 절제하고(약속 줄이기, 식단 조절하기, 운동하기 등), 계속 그 문제를 생각해야 한다. 

2. 평소에 100% 몰입해서 살고 있는 시간이 어느 정도 될까? 저자는 우리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강요받아야 그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한다. 어려워보이는 일, 문제일지라도 그것이 나의 잠재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문제를 생각한다는 것이 스트레스 요소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이는 문제를 계속 깊에 생각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3. 저자는 운동을 수 차례 강조했다. 높은 수준으로 몰입하고, 충실한 하루 하루를 보내기 위해서는 땀흘려서 매일 1시간 운동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다. 

4. 몰입하는 것은 행복한 삶을 사는 방법이다. 생각해보면, 하루 중 몰입하지 않고 보내는 시간들이 많다. 죽음을 기억하고,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들을 충실하게 살아가는 것이 후회없는 삶을 사는 방법이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직면한 문제에 대해 계속 생각하고, 특히 아침 하루 10분은 그 문제에 대해서만 생각하기. 

2. 규칙적인 운동. 일주일에 2번 땀흘려 1시간 운동하고, 매일 스쿼트 100개. 

3. 단백질 위주 식단, 군것질 하지 않기. 

4. 비전보드를 달성하기 위한 투자 과정에서도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그 문제 해결하는 것을 포기하지 말고 답을 찾을 때까지 생각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주어진 상황에서 걱정만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분하고 냉철하게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집중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문제를 해결할 확률을 당연히 후자의 경우가 훨씬 높다. (p. 239, e-book) 

일등을 하겠다는 목표를 마음속으로 계속 다지다 보면 이에 관련된 시냅스의 수가 증가하고 강화된다. 

장기간의 몰입을 경험해보지 않은 사람은 자신이 가진 잠재력을 모두 동원하면 어느 정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알지 못한다. 아마 평생을 모르며 살아갈 것이다. 나는 이러한 경험을 통해 예전의 Work Hard 패러다임에서는 평생을 해도 얻을 수 없는 성과를  Think Hard 패러다임으로 불과 수개월 만에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댓글


굿모닝제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