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같은 투자금으로 더 좋은 아파트를 고르는 방법은 결국 비교평가이다.

 

비슷한 금액의 아파트를 놓고 입지를 비교하거나, 비슷한 입지의 아파트 중에서 가격이 더 좋은 물건을 찾는다.

 

평가의 기준은 교통, 직장, 학군, 환경, 공급이다.

수도권은 교통, 직장이 학군, 환경에 비해서는 조금 더 영향력이 크고 지방은 학군, 환경의 영향력이 교통보다는 좀 더 큰 편이다. 마지막으로 공급은 역전세 등 리스크 관리를 위해 반드시 확인해보아야 하는 부분이다.

적정 공급량 대비 3년 뒤 공급량이 많다면, 전세가 안빠질 수 있고 심하면 역전세가 날 수 도 있다.

투자시기에 반드시 확인하고 들어가야한다.

 

마지막으로 투자를 할지 말지 결정하는 것은 수익률 보고서를 보며 판단해보아야 한다.

결국 저환수원리에 따라 다시 비교단지들을 분석해보아햐 한다.

 

먼저 저평가. 비교 단지들 중 제일 저평가 된 단지가 무엇인지 확인해야한다.

두번째로 환금성을 생각해본다. 기본 300세대 이상의 아파트인가. 나홀로 아파트, 저층/탑층은 제외한다.

세번째, 기대 수익률을 충족할 수 있는 아파트인가. 원하는 수익률을 뽑으려면 얼마 정도 수익이 나야하는가.

현재 가격 대 중에 가장 좋은 입지의 아파트가 맞는가 확인하고 올라줘야 하는 가격대의 아파트와 비교를 해보고 가능성을 가늠해본다.

네번째. 원금보존이 가능한가. 적정한 전세가율을 확보하고 있는가. 입지독점성이 있는가(향후 입주물량 확인)

마지막. 리스크 관리. 역전세의 가능성은 얼마인가. 역전세가 난다면 나는 얼마까지 대비할 수 있는가. 

 

최소 앞마당을 3개 이상! 확보해야한다..! 최선의 비교를 위해 앞마당을 꾸준히 확장해야한다.


댓글


평창동대저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