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1월 돈버는 독서모임 - 워런버핏 삶의원칙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 일독
2. 저자 및 출판사 : 이지성 / 스트로베리
3. 읽은 날짜 : '25.9.23. (하루만에 완독한 건 처음>-<)
4. 총점 (10점 만점) : 10점
[1부-인생을 바꾸는 일독]
P34 "제자리에 머물기 위해서는 온 힘을 다해 뛰어야 한다. 다른 곳으로 가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최소한 두 배는 빨라야 한다."
→ 남들과 다른 인생을 살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냥 하는 노력으로는 인생을 바꿀 수 없다.
P59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다. 첫 번째 롯드에 집중해라. 그러고 나서 두 번째 롯드에 최선을 다해라. 그렇게 하나씩 하는 거다.
→ 항상 잘하고 싶은 마음에 비해 몸이 따라주지 않아서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지금은 잘하는 것 보다 그냥 하는 게 중요한 단계다.
P70 책을 쌓아두고 보다 보면 읽어야 한다는 의욕이 생기거든. 쌓아 놓은 책보다 읽은 책들이 한 권 한 권 많아지면 성취감도 생기고, 장담하건대 엄청 뿌듯해질 거야."
→ 이번에 열중반을 수강 하면서 벌써 7권의 책을 읽었다. 읽은 책들이 하나씩 쌓이는 모습을 보면서 뿌듯한 마음도 들고, 점점 독서의 재미를 알아가고 있는 것 같다.
P83 100일 33권 독서를 성공시키는 일곱 가지 팁
1. 표지든 작가든 내용이든 마음에 끌리는 책 33권을 산다.
2. 책꽂이를 산다.
3. “오늘도 나는 책을 읽는다!”를 매일 아침과 잠들기 전, 소리 내어 세 번 이상 말한다.
4. 다이어리나 노트에 매일 독서 일기를 쓴다.
5. 아침 독서 한 시간, 저녁 독서 한 시간, 출퇴근 독서 30분을 엄수한다.
6. 근무 시작 전 5분, 점심시간 5분을 이용해 매일 명언집을 읽는다.
7. 반드시 평균 일주일에 두 권 이상을 읽는다.
→ 언젠가 한 번은 꼭 실천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당장은 앞마당을 만드는 게 우선이니 바로 실행이 가능한 3번(아침 확언에 추가), 5번(저녁 독서 2시간, 출퇴근 독서 30분), 7번(일주일에 두 권 읽기)을 해보려고 한다.
P99 가장 중요한 것은 남과의 비교가 아니라 자신과의 비교였다. 어제의 나보다 오늘의 나는 더 나아졌는가, 예전의 나보다 지금의 나는 실력이 더 좋아졌는가.
→ 동료들과 비교한다고 내 실력이 늘지 않는다. 어제의 나보다 성장했다면 충분히 잘 하고 있는 거다.
P108 확고한 습관을 갖는 게 중요한 이유는 설령 자신의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분명히 어제보다 오늘 나아지고 있다는 믿음과 희망, 그리고 끝까지 해보려는 의지가 생기기 때문이야."
→ 대부분의 책에서 습관이 중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아침 확언, 매일 독서, 매일 목실감 작성 습관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자.
P112 슬럼프를 극복하는 특단의 조치
1. 멘토를 만난다.
2. 동지를 만난다.
3. 도서관에 간다.
→ 멘토를 만나기 위해 10월 돈독모를 신청하였고, 강의를 계속 수강하면서 동료들과 함께하면서 환경 안에 있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도서관은 안간지 몇 년이 된 것 같은데 평일 퇴근 후나 주말에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부-100권 독서로 최고 전문가로 거듭나다]
P142 뚜렷한 목표는 강한 성취 동기를 불러일으켰다. (중략)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목표를 세우고 나자 흔들림 없이 나아갈 힘이 생겼다.
→ 목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를 요즘 실감하고 있다. 목표가 없을 때는 평일에 친구들을 만나서 술을 마시면서 영양가 없는 이야기를 하거나, 집에서 뒹굴거리면서 넷플릭스, 야구만 봤었는데, 목표가 생긴 지금은 강의, 독서, 임장으로 하루가 가득 채워져 있다. 분명 목표가 없을 때 보다 하는 것이 많은데 오히려 요즘의 생활이 더 행복하고 즐겁다.
P144 자기 업무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한 1년 100권 독서
1. 업무 분야의 고전으로 꼽히는 책을 한 달에 열 권씩 산다.
2. 일주일에 두 권씩 읽는다.
3. 반드시 알아야 할 부분에는 밑줄을 치고 여백에 자신의 생각을 적는다.
4. 한 챕터씩 요약 정리를 하고 중요한 내용은 따로 메모하거나 녹음한 후 출퇴근 시간에 읽고 들으면서 자신의 것으로 소화한다.
→ 너바나님, 너나위님도 처음 투자 공부를 시작하셨을 때 부동산 관련 책을 100권 읽으셨다고 한다. 나도 두 분처럼 되려면 100권은 무조건 읽어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5. 주말마다 두 권의 책에 대한 리뷰를 쓴다.
P146 특정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이 쓴 책에는 보통 30년의 노하우가 담겨 있어. 100권의 전문 분야 책을 읽으면 3,000년의 내공이 쌓이는 것과 마찬가지지."
→ 아직 많은 책을 읽지는 않았지만 책을 통해 배울 수 있는 점이 정말 많다는 생각이 든다. 인생에서 큰 성공을 이룬 분들의 노하우를 1~2만원을 투자하여 레버리지 할 수 있다니…! 이걸로 책을 왜 읽어야 하는지가 설명이 되는 것 같다.
P158 “책을 읽고 부터 두 가지 의미에서 진짜 공부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하나는 독서를 통해 자신을 성장시키는 공부이고, 또 하나는 책을 읽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한 인생 공부죠.”
→ 열중 필독서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원씽’, ‘몰입’을 통해서 생각이나 마인드가 많이 변한 것 같다고 느껴진다. 또한, 조원들과 매주 하는 독서모임을 통해서 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인생을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많이 배우고 있는 것 같다.
[3부-자신만의 전설을 써내려가다]
P207 누구나 실수는 할 수 있었다. 실패도 겪어야 했다. 그러나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철저하게 본인의 몫이었다. 남 탓을 하거나 환경 탓으로 돌리지 않고 자신에게 부족한 점은 무엇인지,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생각하고 실행하는 게 중요했다.
→ 이 문장을 보고 복기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복기를 하지 않으면 같은 실수가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P216 지식이 풍부해진 것은 수많은 결과물 중 하나에 불과했다. 독서는 더 큰일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바탕이 되었던 것이다.
→ 아직 독서를 하면서 지식이 풍부해졌다는 느낌은 받지 못했지만,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 같다는 확신은 점점 가지게 되는 것 같다.
P223 질문의 수준을 보면 그가 어떤 정도의 지식을 갖고 있고, 어느 정도의 고민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 내가 가장 어려워 하는 질문하기! 원씽에서도 ‘답은 질문에서 나오고, 답의 질은 질문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했었다. 항상 왜(Why)라는 생각을 가지고 어떻게 하면 좋은 질문을 할 수 있을지 계속 생각해야겠다.
P232 비전이 아무리 훌륭해도 그것을 뒷받침하는 끈기와 자신에 대한 믿음이 없다면 그것은 한낱 망상으로 끝나고 마는 것이다.
→ 내가 중도 포기 하면 결국 아무것도 이뤄지지 않는다. 빨리 가지 않아도 된다. 대신 천천히 꾸준하게 나아가보자.
1. 비교는 어제의 나랑만 하기
2. 첫 번째 롯드에 집중하기 → 잘하려고 하지 말고 그냥 하기
3. 독서 습관 유지하기 → 매달 돈독모 참여하기, 최소 2주에 1권씩 읽고 독서후기 작성하기
P59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다. 첫 번째 롯드에 집중해라. 그러고 나서 두 번째 롯드에 최선을 다해라. 그렇게 하나씩 하는 거다.
P99 가장 중요한 것은 남과의 비교가 아니라 자신과의 비교였다. 어제의 나보다 오늘의 나는 더 나아졌는가, 예전의 나보다 지금의 나는 실력이 더 좋아졌는가.
P207 누구나 실수는 할 수 있었다. 실패도 겪어야 했다. 그러나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철저하게 본인의 몫이었다. 남 탓을 하거나 환경 탓으로 돌리지 않고 자신에게 부족한 점은 무엇인지,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생각하고 실행하는 게 중요했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