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BM요소]
1. 입지 평가 시 미시하게 쪼개기
: 지하철 노선 별 가치에 따른 교통 등급 차별화 하여 배점 하기 (B-, B, B+ 같은)
2. 환경 평가 시, 백화점 유무와 백화점 등급, 생활권 내 포함된 백화점, 마트가 아니어도
인근 지근 거리의 이용 가능한 백화점도 고려하여 환경 평가 배점시 가산하기
3. 공급 평가 시, 해당 주와 붙어 있는 곳의 공급량을 합치고, 지역간의 유입-유출 인구를 고려하여
해당 구의 리스크 요인을 명확하게 분류하기
[어려웠던 점]
비교 평가시, 아직까지 신축과 구조에 좀더 많은 선호도가 기우는것을 느낌,
결국 땅의 가치에 수렴하게 되고, 이 가치의 최고점일때의 청사진을 생각하며
동일한 투자 금액의 투입이 가능할 경우 결국 선택의 요인은 환경도, 학군도, 입주도 아닌
땅의 가치가 가장 우선조건이 되어야 함을 다시한번 느낌. (단,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고 무리한 투자가 아니라는
전제에서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