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기초반 2주차 강의내용 중 질문이 있어요.
동일가중 방식이 1,2년 기간으로 보았을때 투자 성과가 더 안정적이다.
그런데 장기 투자시 시가총액 방식이나 동일가중 방식이나 성과는 비슷하다.
그런데 둘 중 하나만 고른다면 동일가중 방식을 선택하겠다??
시가총액 방식이 주가 변동률이 적고 안정적이라면,
장기투자시 시가총액 방식을 따르는 것이 더 합리적인거 아닌가요??
아니면 어짜피 장기 투자 성과는 비슷하니까 단기간이라도 수익률이 높은 동일가중 방식이 더 낫다는 건가요??
그리고 수업중 그래프를 보면서 편차가 시가총액 방식이 편차가 더 크다고 하셨는데 그래프의 어떤점에서 그런 해석이 나온걸까요?
그래프의 등락폭은 동일가중 방식이 더 커보이는데 어떤것을 보아야하는지 모르겠어요 ;;
진짜 완전 초보라 어렵네요 ;;
댓글
안녕하세요. 저도 똑같은 미투기 강의 듣는 수강생인데요. 제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S&P500 추종 지수 ETF(ex.SPLG 외)들은 모두 시가총액 추종 방식을 따릅니다. 이 ETF의 특징은 정보기술 섹터의 비중이 높아 동일가중 방식보다 변동성이 높기 때문에, 초보 투자자들에게 변동성과 하락률을 최소화 하면서 비슷한 수익을 낼 수 있는 대안으로 동일가중 추종 방식인 VIG를 추천해주신것 같습니다. :) ETF투자 포트폴리오 중심축으로 VIG와 SPLG 둘중에 어느것 하나를 선택해도 괜찮다고 하셨으니 강의에서 말씀해주신 내용을 토대로 스스로 선택하면 되는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