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지역개요 인구, 이 자료 하나로 끝내세요. (전국 인구 그래프 자동완성) [워렌부핏]

25.09.30

 

안녕하세요

선한 영향력 나누는 삶을 꿈꾸는 워렌부핏입니다.

 

정부 전산망이 마비되어 KOSIS 접속이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지역개요 쓰셔야할텐데 인구데이터가 없어서 막막해하고 계실

우리 동료분들을 위해 인구 총정리 자료를 준비해봤습니다!

 


1.자료 구성

 

 

지역을 선택하시면 자동으로 동별 인구수가 입력되면서

동별 인구수/세대수/연령별 인구수 그래프가 완성됩니다.

 

 

1. 동별 인구수 및 세대당인구수 그래프

 

동별 인구수를 통해서는 어느 행정동에

얼마나 많은 인구수가 살고있는지 파악하실 수 있어요.

 

대략적으로 생활권 규모를 파악 가능하고

세대당인구수를 통해 가족단위로 선호하는 생활권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인구수는 많은데 세대당인구수가 1.4명 수준이면

해당 생활권은 어르신 혹은 1인가구나 대학생이 많다고 대략 유추해볼 수 있겠죠?

 

반면 세대당인구수가 2.4명 이상인 생활권에서는 높은 확률로

가족단위로 거주하기 선호하는 곳입니다.

 

이런 그래프들을 통해서 대략 생활권 규모가 어느정도이며

가족단위로 거주하기 선호하는 지역인지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2. 연령별 인구수 및 연령별 비율

 

 

연령별 인구수를 통해서는 실제로 세대당인구수가 많은 생활권이

신혼부부 위주인지, 학생이나 완성형 가족이 많은지 등등의 정보를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 영유아+30대 수: 젊은 신혼부부가 많이 산다고 유추해볼 수 있고, 신축택지에서 이런 모습이 자주 관찰됩니다.
  • 영유아~10대 수 : 아이들이 많이 산다는 건 그만큼 아이 키우기 좋은 동네라는 의미입니다.
  • 10대+40대 수 : 완성형 가족이 많이 거주할 경우 이 비율이 높습니다. 세대당인구수까지 높다면 실제로 해당 생활권은 지역 내에서 선호될 가능성이 높고, 10대 인구수/비율이 유독 높은 경우 학군적으로도 유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학원가나 학업성취도 등을 추가로 확인해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30대~50대 수 : 경제활동을 많이 하는 연령대를 모아놓은 비율입니다. 경제활동인구수 비율이 탄탄할수록 그만큼 해당 생활권에 구매력 있는 분들이 많이 거주한다는 의미입니다.
  • 60대 이상 수 : 이 비율이 높을 경우 노인분들이 많이 거주하시는 동네라는 의미입니다.  비균질하며 빌라가 많거나 혹은 택지일 경우 소형평수 위주의 단지들이 많을 확률이 높습니다.

 

참고로 비율 그래프와 인구수 그래프 두개가 나뉘어져 있는데요,

저의 경우 두 가지 모두를 보는 편입니다 ㅎ

비율만 볼 경우 데이터가 왜곡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에요.

 

예를들어 인구수가 1천명인 동네가 있는데 해당 동네 10대 비율이 20%라고 해볼게요.

그러면 해당 동네에는 학생이 200명이 있는거겠죠?

 

하지만 옆동네에는 인구수가 1만명이고, 10대비율이 10%라고 하면

학생수가 1천명이 됩니다.

당연히 학생 비율이 아닌 학생수가 많을수록 더 학생 관련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겠죠?!

 

이런 오류를 피하기 위해서 저는 연령별 비율과 연령별 인구수

두 그래프를 모두 참고하는 편입니다~

 

 


2. [동별 인구수] 사용방법

 

사용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ㅎㅎ

 

먼저 폰트를 아래 사이트에서 설치해주시구요

https://spoqa.github.io/spoqa-han-sans/

 

 

  1. [동별인구수]이라는 시트에 가셔서 시트 상단에 있는 [시/도] 리스트를 선택합니다. 빈칸을 클릭하시면 목록이 나오니 그 안에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2. 그 다음 [시/군/구]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시/도]에 속한 지역 목록이 [시/군/구]에 생성됩니다.
  3. 시/군/구에서 원하는 시/구를 선택하시면 되어요.
  4. 마지막으로 [동별 인구수 생성]이라는 버튼을 누르시면 자동으로 동별 인구수가 생성되고 그래프가 완성됩니다.

 

간단하죠?

 

다만, 지역별로 동 개수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래프에서 범위를 다시 지정해줘야 해요.

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범위가 중3동까지만 설정되어 있고, 춘의동아래로는 포함이 안되어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아래 그림을 참고해서 범위만 바꿔주시면 됩니다!

 

  1. 그래프 클릭 후 - [데이터 선택]
  2. 차트 데이터 범위에서 데이터가 있는 마지막 행으로 범위 수정 (아래 그림을 참고하셔야 이해하시기 편해요)

 

 

 

자동으로 그래프가 완성면 해당 그래프를 그대로 임보에 붙여넣으시면 됩니다.

다만,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할점은 그냥 엑셀그래프를 PPT에 붙여넣을 경우 PPT랑 엑셀파일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따라서 엑셀에서 원본데이터를 수정할 경우 임보에 있던 그래프도 자동으로 바뀌어요.

그렇기 때문에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PPT에 붙여넣으실 때, 우클릭 후 [그림으로 붙여넣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3. [구별인구수] 사용방법

 

 

구별인구수도 동별인구수랑 사용 방법이 동일합니다.

다만 시/도와 구를 하나씩 입력해줘야 합니다.

 

  1. 먼저 시/도에 원하는 지역을 쭉 선택하시구요. (클릭하면 목록이 나옵니다.)
  2. [시/구 목록 생성] 버튼을 누르시면 선택한 지역의 하위 목록이 [시/군/구]에 생성됩니다.
  3. [시/군/구] 박스에서 목록을 선택해서 하나씩 채우시구요.
  4. 마지막으로 [구별 인구수 생성] 버튼을 누르시면 인구 데이터가 완성됩니다.

 

 

 

이 자료를 응용하면

비슷한 위상의 지역끼리 묶어서 인구구성을 비교해볼 수도 있어요~

 

 

예를들어 서울 강서구가 임장지라면

이렇게 4급지인 지역끼리 비교해보면서

  1. 각 지역별로 어떤 특징를 가진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지
  2. 강서구는 상대적으로 어떤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지

파악할 수가 있어요.

 

 

 

강서구 하나만 놓고 보면

상대적으로 해당 지역이 어떤 인구 특징을 가지는지 파악하기가 어려우니까요~

 

사실 이 자료가 투자적으로 그렇게까지 유의미한 데이터는 아니에요.

우리는 지역에 투자하는게 아니라

특정 생활권의 특정 단지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건 그냥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는 정도로만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궁금한 점이나 피드백은

자유롭게 댓글로 남겨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워렌부핏_전국 인구 All-in-one.zip

    다운로드

댓글


반나이
25. 09. 30. 21:28

와 대박....

긍휼과열정creator badge
25. 09. 30. 21:29

나눔 감사합니다

도요도요
25. 09. 30. 21:31

감사합니다 ... !!!!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