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지투기 31기 23조 서준어멈] 이해보다는 공감. 이것이 지방투자였어!

25.10.03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서울이나 지방이나 사람 사는 거 다 비슷한데 투자하는 게 뭐 그렇게 다르겠어??

네, 다릅니다, 달라요~

 

그간 실준, 서투기 강의를 통해 서울 수도권 앞마당만 늘리면서

지방에 대한 내용은 자동 필터링을 통해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보냈던 지라

지방은 연식만 좋으면 된다던데 라는 막연한 생각만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지역별 특징을 이해하고 지방 투자 사이클을 어떤 지표를 보고 확인할 것인지,

지방 투자를 진행하면서 망하지 않는 방법, 즉 안사야 할 단지들을 걸러내는 능력을 기르는 것인데 말이지요.

 

서울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를 먼저 보자면

  1. 인구수 차이 - 서울 수도권은 각 지역으로의 이동이 지방에 비해 원활해 지역별 인구수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반면 지방은 인구수 자체가 해당 지역의 수요로 연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2. 입지의 차이 - 서울 수도권의 입지 독점성에 비해 지방은 땅의 힘이 크지 않고 빈 땅이 많아 확장이 가능하다.
  3. 상품성 차이 - 서울 수도권은 상품성보다는 직장,교통의 중요도가 크지만 지방은 눈으로 봤을 때 좋아 보이는 상품성 (연식, 브랜드, 택지)가 중요 입지 요소이다.
  4. 선호도 차이 - 서울 수도권은 강남, 한강을 중심으로 선호도 파악이 가능한 것에 비해 지방은 학군(광역시와 일부 중소도시 한정), 환경이 주요 선호도를 가르며 일부 전통적 선호 지역도 있다.

즉, 지방 투자는 학군,환경>직장,교통 입지 순서를 알고, 꼭 해당 지역에 살아야 하는 요소가 크지 않다면 눈으로 보기 좋은 곳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며, 특히 중소도시의 경우 왜 특정 단지를 좋아하는지에 대한 분석이나 이해보다는 공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어 울산광역시 도시개요 및 입지 설명을 통해 울산이라는 지역의 특징과 현재 상황, 울산 내 각 생활권 별 특징, 위상, 선호요소 등을 하나하나 반복해서 들으면서 어떤 단지에 투자해야 하는지, 마지노선으로 걸러야 할 단지는 어떤 것들인지, 어디까지 투자할지 어떻게 정하는지 까지 배울 수 있어서 울산에 대한 이해도 상승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분석시에도 적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첫 지방 투자 강의라 중간 중간 한번에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돌려서 다시 듣기도 하면서 권유디님의 열강 덕분에 정말 즐겁게 초집중 모드로 빠르게 완강하고 후기까지 남길 수 있었습니다.

다음 주 첫 지방 분임도 잔뜩 기대가 되네요.

 

 

 


댓글


서준어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