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내집마련기초반1강 후기_내집마련 원칙(시기, 원칙 결정)

25.10.04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내집마련 하기 전 꼭! 알아야할 A to Z

  • 강의에서 기억해야 할 점
    1. 집은 필수재이자 중요한 투자자산
      • 단순히 거주를 위한 공간이 아니라, 레버리지를 활용해 큰 금액이 오가는 중요한 투자 대상이므로 “언제 사는가”  못지않게 “무엇을 사는가”가 핵심
      • 괜찮은 시기라도 아무 집이나 사면 실패할 수 있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함
    2. 내 집 마련의 전체 프로세스
      • 시기 결정: 장기적으로 집값은 우상향하므로, 무작정 급락을 기다리기보다는 과거 실거래 추이를 분석해 고점을 피하는 전략이 필요
      • 범위 탐색: 현재 거주지에만 한정하지 말고, 서울 전체에서 예산 범위를 기준으로 탐색. 예산 대비 평단 평균가보다 약간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모두 포함해 다양한 구의 아파트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
      • 선택 과정: 후보 아파트들을 장단점별로 비교·분석한 뒤, 여러 개를 1차적으로 추려내고 그중 최종 1개를 선택
      • 매수 실행: 단계별로 기술적 매매 과정을 클리어하며 3개월 내 매수를 목표
    3. 서울과 지방 접근방식 차이: 서울은 신/구축 못지않게 입지 매우 중요, 지방은 신축이 더 중요할수있음

 

  • 나에게 적용할 점
    • 중년층에 접어들며 사회초년생 시절보다 자산을 축적할 수 있었고, 늦었다고 생각하기보다는 포기하지않고 집을 매수하기로 결심. 하지만 경험과 지식 부족으로 접근 방식의 문제점과 한계를 느낄수 있었음
    • 기존 시각:
      • 단순히 "교통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면 된다"는 관점에서만 선택하려 함

        - 직장과의 근접성만 중시하여 초역세권, 세대수는 적지만 가격이 낮은 나홀로 아파트 위주로 검색

      • 투자자산 관점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향후 남들도 원하는 집인가”라는 핵심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지 않음
    • 강의를 통해 깨달은 점
      • 집은 단순한 거주 공간이 아니라 자산 증식의 중요한 수단이므로, 가치가 있는 집을 선택해야 함
      • 입지, 학군, 환경, 호재 등 여러 장점을 갖춘 집은 가격이 비쌀거라는 이유로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고 배제하기보다, 예산범위안에서 최고의 선택을 하면 장기적으로 나은 자산이 될 수 있음
      • 인생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결정을 “싼 집이면 된다”는 단순한 기준으로 내려서는 안 된다는 점을 깊이 깨달음
    • 느낀 점:
      • 1강을 통해 저보다 훨씬 많은 의사결정을 거쳐 경험을 축적한 전문가의 노하우를 직접 들으면서, 잘못된 방향으로 갈 수 있던 제 선택을 교정할 수 있겠다는 안도감과 확신을 얻었음
      • 내 삶의 질 향상과 자산증식 등 전략적 선택을 해야겠다는 희망과 동기부여가 생겼음

         


댓글


그린픽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