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 지방투자 기준

    - 지방사이클 특징 : 공급량 감소 - 전세가상승 - 매매가상승

    - 지방투자기준 3가지 

     1. 수요가 많은 지역 : 인구수는 곧 수요이다

     2. 건물가치가 큰 단지 : 지방은 빈땅이 많아서 땅의 가치가 떨어진다(수도권과다름)

     3. 선호도 고려 : 지역별 특성을 파악한다.

    - 100만이상 도시를 먼저 봐라, 지방의 가격은 생각보다 빨리 오른다, 지방은 빈땅이 많아

      신축아파트를 짓는 것이 수월, 새아파트로 랜드마크 옮겨갈수 있으므로 장기보유 힘들다

    - 수도권과 달리 교통,직장보다는 환경(신축아파트, 신도시느낌), 학군을 따라 거주지 선택

     

     * 지방투자핵심 - 입지 

    - 지방에서는 신축을 따라 거주지를 선택한다. 이것을 알고 투자 우선순위를 정한다.

    - 지방은 일부 구에 한하여 땅의 가치가 있다(학군- 대구수성구범어동)

    - 학군의 힘이 크지 않은 지역은 땅의 가치가 낮다

    - 특정학교를 보낼수 있는단지

    - 직장,환경,학군이 종합적으로 좋은 단지(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 전통적인 부촌(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 지방투자핵심 - 상품성

     - 연식/브랜드/택지규모

     

    입지(학군,환경,커뮤니티) 상품성(연식,브랜드,택지) - 지방 거주지 선호도 결정

      

    이번 지투기 권유디님의 1강에서 지방투자의 기준이 수도권과 어떻게 다른지와 현재 공급량을 예를 들며 현재 투자하기 좋은 지역에 대하여 설명해주심. 거주지를 선택할시 선호하는 부분이 수도권과 어떤 것이 다른지 비교하여 설명해주셨으며, 이번 지방임장시 권유디님께서 말씀하신 지방은 눈에 보이는 곳이 좋은 곳이다 라는 말을 유념하며 임장에 임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울산의 도시개요 및 입지를 자세하게 설명하여 생활권 우선순위가 명확해졌으며, 현재 울산의 아파트 가격이 오른 단지의 특징과 아직 가격이 오르지 않은 단지의 특징을 설명하며, 울산을 오픈북으로 삼아라, 울산의 모습을 다른 지방 앞마당에 적용해 볼수 있는 있겠다는 생각에 1강에서 울산지역을 분석해준 이유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역시 월부 짱!!!!

    울산에 어떤 단지에 우선적으로 투자해야하는지를 1번부터 5번까지 순위를 정해서 주셔서 

    정확한 마무리를 지어주셨습니다. 하나하나 단지를 예를 들어 1번부터 5번까지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일일히 설명하니 이해가 쏙쏙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에도 투자 우선순위를 꼭 적용해봐야겠습니다.  


댓글


우하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