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막연하게만 생각하던 부동산에 관련된 오해를 해소하는 시간 

 

  • 인구가 준다던데.. 집값이 언젠간 폭락하지 않을까요? → 역사적으로 인구가 준 시기에도 매매지수는 올랐고, 사람들이 좋아하는 주거지는 계속 오를 것이다 (서울, 아파트)
  • PIR의 개념 → 항상 비싸다고만 생각했던 주택 가격, 소득 대비 가격으로 봐야 싸다/비싸다를 판단할 수 있다.
  • 전세가율로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를 파악하기 → 전세가율이 높다 = 몇억만 더주면 매매 가능한데도 안산다 = 부동산시장이 안좋다
  • PIR이 낮고 전세가율이 높다면? 집사기에는 BEST다 

 

부동산 시장의 원인과 결과를 명확히 하는 시간 

 

  • 원인은 세가지 (금리, 공급, 기타환경(규제 등))
  • 결과는 하나, ‘가격’ 

 

  • 금리와 공급이 장기적인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만들고, 규제가 단기적인 눌림목을 만든다 

    → 하락기 (집값이 싼 기간)와 규제로 인한 눌림목 기간 (단기적으로 싸진 기간)을 노려야 한다

 

행동원칙을 배우는 시간 

 

  • 시기 → 범위 → 여러개 → 한개 → 기술적 매매

댓글


앵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