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리두리입니다.
2강 강의는 프메퍼 강사님께서
지방투자 비교평가를 통해서 투자로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강의해주셨습니다.
추석 연휴 마지막날 2강 강의와 함께 연휴 마무리하면서
마음을 다잡을 수 있는 유익한 시간 이었습니다.
지방에서 명확히 파악해야하는 것 “선호도”
지방투자 핵심 3요소 신축, 환경, 선호도 중
지방광역시 A 지역에서 같은 평형기준, 생활권이 다른 단지들을 선택하여
가격 차이를 보고 이유를 파악하는 과정을 알려주셨습니다.
각 생활권은 쾌적한 공원을 보유한 생활권, 역세권 생활권, 언덕 생활권 구분되고
지역구의 선호도는 쾌적한 공원 주변의 단지를 선호하는 특징이 있는 지역이었습니다.
단지의 가치를 임장/임보를 통해 파악하고 현재 가격과 전고점 가격을
비교해보면서 “선호도”에 따른 가격 차이 그리고 저평가 여부를 확인해 볼 수 있었습니다.
지방투자를 위해 앞마당을 늘려나가면서
연식외 “그 지역만의 선호도”가 무엇이고, “선호도에 따른 가격 차이”를 파악하여
앞마당을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가치” 대비 “가격”을 비교하고 가치 대비 가격이 더 “싼 것”을 고른다
모든 투자에 있어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가치를 제대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단지의 가치를 제대로 판단하기 위해 임장, 임보를 통해 제대로 가치를 파악하고
가격이 가치대비 저평가인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서울의 경우 “입지", “교통” 가치로 비교평가를 할 수 있었다면
지방의 경우 도시도 많고, 가격대 유사, 지역마다의 개별적 다른 특징 등…
고려해야할 사항들이 많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같은 규모끼리 비교평가/ 다른 규모끼리 비교평가를 해보면서
단지 가치 대비 가격이 싼지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방 앞마당이 많지 않아서
알고 있는 지역 기준 같은 평형/유사 금액 기준으로 단지들을 비교해보고
앞마당을 늘려가며 다른 도시 단지들까지 비교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선명한 앞마당을 위한 “매물임장 결과 남기기” , “가설 검증”
실제 앞마당을 만들고 시간이 지나면 기억속에서 점점 옅어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강사님께서 정리하시는 노하우 “매물임장 후 결과 1 Page”를
설명해주셨습니다.
매임 후 각 부동산별 단지 선정 이후 최종 단지를 선정하고
이를 1 Page 결과물로 정리하여
당장 투자를 하지 못하더라도 결과를 남기는 활동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습니다.
매임결과 정리하면서 추린 단지 기준 장표 작성하여
앞마당을 좀 더 선명히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역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가설 검증” 프로세스를 설명해주셨는데 처음 접하는 내용이라
온전히 이해하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투자와 관련된 궁금증에 대해서
가설 → Data 찾기 → Data 해석& 결과 확인 → 현재 투자에 적용
프로세스를 예시를 들어 설명해주셨습니다.
지역에 대한 이해도, 아파트 단지 가격에 대한 의문점등을 가져야 하는데
임보를 작성하면서 Data만 찾고 1장 완성하고
가격은 그냥 숫자로만 받아들였던 것 같습니다.
작은거라도 의문을 가지며
그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Data/ 자료들을 찾아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생각하고 고민하면서 임보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지방투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실제 투자로 이어지는 사례를 설명해주시며
강의 내용에 담긴 활동들을 왜 해야하는지 자세히 알려주신
프메퍼(Practice Makes Perfect) 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