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장, 임장 보고서에 대해 자세히 배우는 2강
분위기 임장과 1주차 과제 작성을 통해 궁금증이 많이 생긴 후 강의를 들었기에
귀에 더 잘 들어왔던 것 같습니다.
나에게 특이 인상깊었던 점 메모
- 임보 관통하는 한가지 - 같은 값이면 뭐부터 살까
- 해운대 구축? 하급지 신축? 그래서 정답은 뭘까?
- 잘 모르겠는 건 커뮤니티 > 재테크QnA > 정보나눔방부터 찾아 가져다 써라
- 울산이 지방 투자의 오픈북 교과서와 같다.
- 학군이 지방에서는 더 중요할 수 있다. (역세권, 직주근접 따지지 마라)
- 공급은 전체적으로 부족. 역전세 때문에 확인. 감당할 수 있으면 가치 보고 판단 후 사도 괜찮다.
- 호재는 하락장에서는 차이 느낄 수 없으나, 상승장에서 차이 벌림
- 다시 말하지만, 좋다 나쁘다가 아니라 우선순위 보는 것 - 비교하다 보면 우선순위상에서는 밀려도 투자까지 이어질 수 있다
- 초반에는 앞마당이 적어 아쉬운 투자 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용기내 해 보자
1.지역개요 : 지도에 익숙해지는 방법
일반지도(물리적 위치, 동 구분) + 지적편집도(지역 주요 기능): 카카오맵
- 인구수: 지방에서는 매우 중요, 전출입 합계도 중요(증가하는 곳, 청주 등) - 부동산지인 > 지인 빅데이터 > 전출입
- 연령별 인구 비율: 20,30대 영유아, 10,40대 학군지, 50,60대 구도심, 구축: 부동산지인 > 지인 빅데이터 > 인구/세대수
적용점
지난 주 분임에서 세워본 가설을 검증해 보고자 합니다.
거리에서 본 사람들과 상권의 느낌으론, 송정동-영유아 수요, 매현동-학군지, 달천동-구도심으로 생활권을 나눠 보았는데 실제 연령별 인구비율을 확인하고 보고서에 추가해야겠습니다.
울산 내 다른 구와의 전출입(울주군 포함)을 살펴 보아야겠습니다.
2.입지분석 : 수요를 알기 위해서 > 직장/교통/환경/학군
1)돈을 벌 일자리, 2)출퇴근 편리, 3)학교 보내기 좋은지, 4)살기좋은환경, 5)리스크-역전세 매매하락 대비
- 인구는 50만 이상만 의미 있음. 과거 강사님은 원주30만명임에도 투자했지만 현재 규제 없으니 볼 필요x, 50만 < 100만 < 그 이상(대구/부산)
- 수도권은 사칙연산 기본이니 우선 수도권의 직장을 보고 시작하라. 지방은 구 내 중심 산업단지 보면 됨.(직장을 보는 이유는 투자가 확률싸움이기 때문)
- 1단계. 종사자 수 강남권 170만 > 광화문65만, 여의도 60만(강남 파워가3배)
- 2단계. 업무지구 여부 확인. 국가통계포털 : 인구수 대비 종사자수를 보면 업무지구인지 알 수 있어(중구는 300%)
- 3단계 평균연봉으로 질적 판단. 대기업 수요일 경우 “쉽게 그만둘 수 없는 직장이겠구나” 떠나가지 않을거라 예상하기 쉬움
- 교통. 수도권은 역세권 중요(호선 차이 9호선 > 2호선 > 3호선 > 7호선… )교통 중요 vs. 지방은 역세권 중요도 떨어짐(직주근접x)
- 학군. 수도권에서는 특정 지역에서 차이 벌림(대치, 목동, 광장, 안양 동안). 지방에서는 학군지 여부가 수도권보다 더 강력(중학교 배정 단지 확인)
- 환경 - 백화점, 대형마트, 종합병원, 기타 스타벅스 같은 시설. 94년식 3억대 시작했어도, 2호선과 1호선 임에도 차이 벌어짐. 신도림현대(6억) vs. 대림 초역세 럭키(3.8억)
*단, 학군과 교통 앞에 비선호 환경은 쿤 문제 아닐 수 있음. 부천 상동이라면 나이트클럽 OK
*갈아타기 주목. 흑석, 노량진, 동부이촌동 앞으로 좋아질 일만 남은 동네 vs 잠실 지금이 제일 좋은 모습
적용점
열반스쿨 기초반에서도 배웠던 내용인데, 당시에는 수익률 분석이 너무 어려워 결론 내기가 힘들었습니다. 앞마당의 의미를 좀 더 이해하고 다시 배우니 귀에 잘 들어옵니다.
수도권보다도 지방 투자에서 학군의 의미가 더 크다는 것, 학군 입지가 확실하다면 중간에 위치한 비선호시설에 눈 가려 투자를 포기하지 않아야 하겠습니다. 강의를 들었기 때문에 앞으로 지방에서 구축은 투자대상이 아니라든가 및 상업지구는 모두 유해시설로 보는 등의 소음을 걸러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울산 북구를 앞마당으로 만든 후에는, 울산 남구와, 경기도 부천을 한 번씩 분위기 임장 다녀봐야 겠다고 생각했던 것에도 확신이 들었습니다.
3.시세분석
- 내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을 찾기 위한 시세트랙킹
- 처음부터 다 할 필요는 없다 - 투자금 안에서 할 수 있을듯한 단지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전수 조사(가치가 좋은 생활권, 선호 단지부터)
4.단지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