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단 한 번의 투자로 1억 버는 임장∙임장 보고서 노하우
권유디, 자음과모음, 코크드림, 너나위

안녕하세요, 이푸입니다 :)
이번 강의에서는 시세와 단지임장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기존에 해오던 루틴을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1. 호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입지평가는 교통, 직장, 학군, 환경으로
호재는 입지평가에 없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투자를 하다보면 부사님들께서
호재에 대해 말씀을 하셔서
저도 모르게 혹 할 때가 있는데요,
이번 강의를 통해 호재를 어떻게 바라보면 좋을지 배우게 되었습니다.
호재는 비슷한 조건과 가격, 투자금이라면
플러스 알파 요인이지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실제 2호기 투자를 진행할 때
호재가 붙은 단지와 아닌 단지가 있어 고민했습니다.
호재 붙은 단지의 위치가 더 좋았지만,
투자금이 많이 들어 고민이 되었었습니다.
사실 호재가 플러스 알파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막상 호재 붙은 단지와 아닌 단지를 비교하니
실제 상황에서는 호재 붙은 단지로 마음이 더 기울었습니다.
(제 투자금으로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구요..)
호재 있는 단지는 가격에 반영되기 전까지 기회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2. 시세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앞마당을 만들며
시세따기는 익숙해진 영역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어쩌면 시세따기가 익숙하지 않은 영역일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시세 딸 때 전고점과 전저점을 함께 보며
과거 상승장과 하락장에서 단지가 어떻게 반응하였는지 분석하는 것
또한 시세 영역에서 해야 할 부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 지역마다, 단지마다 다르지만
전고점 보다 더 올라간 단지들이 보여 혼란스러웠습니다.
강사님께서 현재 시장에서 강남 1시간 이내 가능한 지역에서
전고점 대비 -15% 이하면 무조건 싼 것이라고 말씀하셔서
기준을 잡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강의BM
1. 시세 파일에 전고점, 전저점 작성하기
댓글
이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