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서 비교평가를 하고
이것이 투자로 이어지는 과정에 대해 배웠습니다
비교평가의 목적
우리가 지방에 투자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장기 보유가 아닌
‘매도를 통한 종잣돈 불리기’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가치) 사람들이 선호하는 단지를,
(가격) 저렴한 가격에 매수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를 위한 과정이 비교평가 입니다
비교평가를 하는 방법
에어컨과 선풍기의 비유를 통해
어떤 단지를 고르는 것이 좋을지 배웠습니다
서울/수도권과 지방의 선호 요소의 차이를 알고,
지방의 세가지 핵심 요소인 신축/환경/지역선호도를 바탕으로
가치-가격-투자 판단을 해야 합니다
하나의 예시로,
어떤 지역은 평지 여부와 공원 접근성이 중요했습니다
이를 알기 위한 방법으로는,
시세지도를 그려보고 임장도 하고 전임/매임을 통해
공통적으로 듣는 이야기로 알 수 있습니다
비교평가 연습
처음에는 선호요소를 고려하여 지역 내 비교를 하고,
이후에는 앞마당을 넓히며 지역 간 비교를 해야 합니다
* 지역 간 비교 순서: 도시-생활권-단지
이렇게 비교평가를 한 뒤에는
그래프를 붙여 보며 검증 과정을 거치되,
과거 시세에는 지역마다의 시장상황이 반영될 수 있으니
충분히 지역을 이해한 상태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가설 검증의 4단계를 통해
앞으로 펼쳐질 단지 흐름을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 주장-근거-결론-적용
이렇게 앞마당을 늘리고, 쌓아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앞마당을 만들 때는 논문을 쓴다는 생각으로 하고,
이후에는 숙성의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트래킹합니다
마인드
‘내가 지금 뭘 하고 있는 거지?’
이런 생각이 들 수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뜨끔..)
끝이 없는 터널을 걷는 기분이 들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 내 옆의 동료들과 함께 힘을 내고,
무엇보다 즐겁게 이 과정을 해내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