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은 수도권과 다르다.
1) 지방은 수요가 있는 지역, 단지에 투자해야 한다.
(1) 수요가 있다는 것은 인구 수를 참조하고
(2) 수요가 있는 동네인 것은 지역내 선호도를 확인하고 지역의 구성 요소를 확인한다.
(3) 수요가 있는 단지 인것은 입지가 좋거나, 연식이 좋아야 한다.
지방 투자 기준 3가지
1) 수요가 많은 지역: 인구수에 따라 투자 우선순위 정하기
2) 건물 가치가 큰 단지: 지방은 ‘땅의 가치’가 떨어짐
3) 선호도 고려: 지방은 선호하는 동네와 단지가 정해져 있다.
지방투자의 핵심
1) 인구 수 = 인구는 수요다. 그러나 인구수가 법칙은 아니다.
2) 입지= 지방은 땅의 힘이 크지 않다. 그러니 환경과 학군을 따라 사라믈이 거주지를 선택한다.
*그러나 대구 수성구, 창원시 반림 같은 곳은 학군으로 땅의 가치가 있다.
*특정학교를 보낼 수 있는 단지
*직장,환경,학군이 종합적으로 좋은 단지
*전통적인 부촌은 사람들이 선호함
====================================================================
교재 내용을 정리하는 것보다 전체적인 후기로 마무리 하자면
절대적 저평가 되어있는 지방시장에서
심지어 이제 상승장이 되는 울산을 보면서
왜 지방 광역시에 투자해야 되는지 본격적으로 깨닫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심지어 오늘 수도권 규제 정책을 보면서 이제 곧 광역시 상급지도 날아가겠구나 생각했습니다.
준비하지 않은 사람에게 세상은 참 무서운 곳이네요 ㅠ 화이팅!
댓글
엘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