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투자공부인증

[실준 앞마당에 등71치고 8리4조 조만장자2034] 경제 뉴스 읽고 생각정리 #58

8시간 전

2025.10.15(수)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538715?iid=2041

 

<요약>

1)규제지역 내 주택가격에 따라 대출 금액 차등

: 25억 초과 - 2억 / 25억 이하 : 4억 / 15억 이하 : 6억

2)전세대출 이자상환분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 처음 반영하고, 스트레스 금리 하한을 상향 조정해 사실상 스트레스 DSR 4단계에 돌입

3)1주택자(소유주택 지역 무관)가 수도권·규제지역에서 임차인으로서 전세대출을 받는 경우, 전세대출의 이자상환분을 DSR에 반영(무주택자 제외)

4)규제 지역은 기존 강남 3구·용산구를 넘어 서울 전역 및 경기도 12개 지역으로(과천, 광명, 성남 분당·수정·중원, 수원 영통·장안·팔달, 안양 동안, 용인 수지, 의왕, 하남) 확대, 확대 지정에 따라 해당 지역에선 주담대 LTV 비율이 기존 70%에서 40%로 감소

 

<생각>

1)지금 투자를 직전에 앞두고 있었던 사람들의 마음이 굉장히 조급할 것 같다. 사실 세금 규제를 예상하고 서울의 몇개구+경기 주요 구 정도만 추가로 규제 대상이 될 거라고 생각했는데 풍선효과를 우려해서인지 더 확대된 구역에 강한 규제를 적용했다는 점에서 놀라긴 했다.

 

2)자산재배치를 통해 수도권 재투자를 고민하고 있었는데 1주택자(지역 무관) 규제 지역 내 전세대출 이자 DSR 반영, 실거주 요건 등으로 인해 갈아타기로 방향을 전환해서 실거주 후 전세로 해야하나?(1주택자 추가 주택 구입시 대출 제한으로 인해 쉽지 않을 것 같기도 하고) 사실 방향이 정리되지 않아 혼란스럽긴 하다. 투자 코칭을 받아봐야겠고 대출 규제에 대해 면밀히 보고 내가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봐야겠다.

 

3)지금 실거주집은 어느정도 가격 회복되면 매도해야하는 건 변함없으니, 매도를 잘 준비해야겠다.

 

4)그리고 지방에는 아직 기회가 있으니 수도권의 상황이 어려울시 지방 투자로 기회를 찾는 것도 적극적으로 해야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


조만장자2034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