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잔쟈니님이 한 지역을 예시로 두어 강의하지만,
지역에 매몰되지 말고, 앞으로의 임장과 분석에 적용하도록 노력해보라 하셨다!
새로 알게 된 사실:
지도를 분석해보니 이번 지역이 산과 바다로 나누어져 있어서
드나드려면 산을 넘고 바다를 건너야 한다.
그래서 지역 사이사이 터널과 다리가 있다.
중심에 접근하기 위해 그 터널과 다리와 가까운 곳,
너무 외곽으로 빠지지 않는 곳 까지가 수요를 부를 수 있다.
적용하고 싶은 점:
입지 별 3개의 질문을 다음 1주차 임보에 녹여보기.
가져갈 장표 36, 37p 다음 임보에 추가할 부분 45,57p, 환경의 3번 질문
지역은 개별성이 크기 때문에
다음에 다른 지역을 선택하게 되면 다시 제로베이스로 느껴질 것이다.
그 때 잔쟈니님 강의록을 옆에 켜 놓고 임보를 써봐야겠다.
(이번 지투기 임보를 쓸 때는 실준 때 권유디님 강의록을 옆에 띄워두고 나형 임장보고서의 입지 별로 필요한 부분을 추가하려고 노력했었다.)
잔쟈니님의 강의와 김인턴님의 임보피드백 강의를 함께 들었을 때
공통적으로 말씀하시는 부분이 많았고,
위의 볼드체로 적용한 부분은 꼭 가져가도록 해야겠다.
생활권별 분석에서 적용하고 싶은 점:
이걸 볼 때에 선호/중간/후순위, 신축/구축을 나눠서 지도에 올려보고
가격흐름을 파악하는 것.
2. 내가 새로이 보는 지역에서 투자범위 정하는 법:
가격 총정리해서 한판 정리하고 그 지역 핵심 요소 파악하고
그에 따라 선호도 나누어서 어디까지 투자할 것인지 정하는 것.
(핵심요소 파악이 제일 중요할 듯. 왜냐면 입지 좋은 물건은 당연히 투자할 수 있는데,
입지 양호한 물건들이면 분명 하나씩 빠지는 요소들이 있을거고
핵심요소를 갖추고 있어야 지역 사람들에게 수요가 있을테니까)
댓글
인피닛러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