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2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7기 102조 쁘띠용맘]

23.12.25

이번 강의에서는 양파링 멘토님이 서울 동북권 시장과 지역에 대해서 알려주시고 실제 투자를 위해 어떤것을 보아야하는지 알려주시는 시간이였습니다.


우선 1강에서 배운대로 서울전역 지도부터 그리고 시작해봤습니다. ^^


지방광역시에서 살아와서 서울에 대한 정보가 유명 관광지 이외엔 전무해서 자꾸 집중력이 흐려졌지만

앞으로 내가 만들어갈 앞마당에 대한 정보이므로 잘 모르고 이해가 안가도 듣고 또 들었습니다.

같은 지방러인 내중반의 조장님이 서울에 대해 배울때 어려웠다고 하신 말씀이 이제야 공감이 가기 시작했습니다.

서울 잘못알 ㅠㅠ


서울에 좋은 곳들은 강남.서초.송파 순으로 알고 있었지만 그 이외 지역중에서 급지는 떨어지지만

살아야만 하는 지역들에 대해 누가 살고 그곳에 어떤 이점이 있어서 사는지 그곳 중에서 앞으로 좋아질 곳들은

어디인지?

현재는 보이지 않는 재개발 예정지역등의 청사진을 보여주셔서 임장할때 더 눈여겨 보아야 할곳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서울에 아이일로 "성동구 서울숲"에 방문했을때 이곳에 아파트를 가지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었는데 그곳에 대해 알려주셔서 출근길에 정신없었지만 귀를 쫑끗 세우고 그 지역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ㅎㅎ 가진 종잣돈이 얼마대에서 투자 가능한 단지라고 알려주셔서 지금 가진 전재산에 저축까지

해야 겨우 몰빵해서 가질 수 있는 단지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알게되면서 나름 마음속에 목표가 생겼습니다. ㅎㅎㅎ


투자 공부하고 자산을 쌓아간다면 나도 가질 수 있을 거라 스스로 확언을 해보았습니다!!


그동안 지방투자와 관련한 강의 위주로 들어서 서울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들이 전무했는데

서울의 입지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교통" 이외에도 여긴 무엇을 중요하게 보는지

좋다는 기준을 어떻게 보는 건지 다 이해는 안되지만 "그렇구나_"하는 정도는 이해한 것 같습니다.


"강남접근성"이란 말이 아닌 교통편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도 보면서

이 구는 "교통편이 좋아서 살겠구나..." 하는 개념 정도는 생긴것 같습니다.



각 구별 랜드마크 분석을 통해 어디가 대장이고 제일 좋은 곳인지에 대해서 아파트명은 기억에 남지만

투자할만한 단지들은 잘 기억이 안나서 더 복습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울 아파트 비교평가하는 법을 보며 여기서 예시한 지역은 다 가서 앞마당을 만들어야

이 강의가 정말 내 피가되고 살이 될 수 있을 거 같아서 더더욱 부지런해져야겠다고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지난주 영하 12도의 추운 토요일 아침 단지임장을 다녔는데 너무 추워서인지 머릿속이 안돌아서

걱정이 될 정도 였지만 한가지 머릿속에 남는것은 서울은 아파트도 사는 사람들도 사는 모습도

지방 사람들과 다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방은 신축아파트의 커뮤니티나 조경에 엄청나게 신경을 많이 쓰고 외관에서도 아파트의 가격들이 느껴지는데

서울은 1급지가 아니면 내 기준으로 절대가가 비싼 신축아파트인데 조경이 부족하고 특별히 부티난다는 생각이 안드는게 수요가 많아서 건설사나 재건축조합에서 추가로 투자할 이유가 없어서가 아닌가 생각이 들었고

지방에는 7억대 이상 아파트의 경우 외제차가 넘치는데 여긴 14억이 넘어도 외제차가 잘 보이지 않고 화려하게 외관을 꾸미는 모습이 없어 집을 우선으로 검소하게 사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팍팍한 서울살림이란 말이 조금은 실감이 났습니다.


지방과는 다른 모습에 어떻게 비교해야 하는지 고민이 많이 되었지만

서울의 기준에 맞추어 각 단지들을 다시한번 생각해보며

계속 임장하면서 아직 못가본 상급지와 하급지를 보면서

비교해나가다보면 조금은 더 이 지역을 알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B.M.

  1. 동북권 각 구의 대장단지와 투자할만한 단지들 살펴보기!
  2. 서울의 입지요소에 대해 한번더 숙지하기!
  3. 내가 임장한 단지들의 특성을 숙고하고 정리해보기!


서울 동북권에 대해 알려주시고 여행시켜주신 양파링 멘토님 감사합니다. ^^











댓글


쁘띠용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