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글: https://weolbu.com/s/IMcHUBz73K
10.15대책 이후 서울 내 주요 아파트의 매매계약 건수기 눈에 띄게 줄음. 강남, 마용성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많았던 흐름이 갑작스런 규제로 인해 조용해지고, 매수 대기 심리가 커짐
언론에선 “거래절벽”이란 단어를 사용하지만, 경험많은 사람들은 알고 있다. 이 시기가 바로 시장이 재편되는 구간이라는 것. 매수하기 좋은 시기라는것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은 큰 차이가 날 수 있다. 비규제지역에서는 오히려 10.15대책 이후 거래량이 늘어나며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거래가 되면서 신고가를 찍는 아파트가 늘어나게 되면 매도자 입장에서도 급하게 매도하려는 사람은 줄어들 수 있다.
강한 규제가 나오면 시장은 곧바로 반응하고 잠깐 멈춤의 시간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거래가 줄면서 물건이 잠기는 기간동안 가격은 급등하기 보다는 안정기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 집을 매도하는 사람도 실거주가 가능한 상태로 집을 매도할 수 있어 매도할 수 있는 물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으며 지금까지의 학습효과로 버티면 오른다는 마음이 있기 때문에 집을 팔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도 생긴다.
집값니 조정될 것이라는 마음이 강해지면서 급매가 나올 가능성이 있고 급매 위주로 거래가 될 가능성이 높다. 만약 급매마저 거래가 되지 않는 시장이 온다면 집값이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2)매수심리 부활
여전히 사람들은 좋은곳에 집을 매수하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시 상승으로 시장이 변하게 된다면 좋은 입지, 상대적으로 오르지 못한 지역들부터 다시 가치를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다.
올해 말 정부가 발표한 수도권 135만호 공급계획이 구체적로 나올것.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기전에는 공급에 대한 부분이 직접적으로 사람들의 머리속에 기억되기는 어렵다. 하지만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공급이란 부분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기에 이 부분을 어떻게 해결할지가 중요한 문제.
보유세, 양도세 등에서 추기 규제가 있을 수 있으며 다주택자, 단기간 보유에 대한 부담은 더 커질수 있다.
대출, 보증비율 변화가 다시 나올 수 있으며, 이는 진입장벽을 높이는 역할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살 수 있는 아파트를 알고 “이 정도명 사도 괜찮다”는 기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시장보다 기준이 앞서야 확신이 생기고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정부의 정책은 결국 안정적인 상승을 기대한다. 즉, 수요와 공급적 측면에서 볼 때 공급부족은 결국 근본적인 집값 안정은 어려움을 이야기 한다.
뉴스와 지표보다는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잠시 멈춰서 가야할 때와 뛰어야 할때를 구분할 줄 아는사람이 결국 기회를 잡는다“ 꾸준히 준비하고 흔들리지 말고 한걸음씩 나아가면 그 길이 미래가 될 것이다.
정책은 변해도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케빈드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