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투자공부인증

[서투기 2번에도 가 보자 9o! 38억 이룰 조! 조만장자2034] 경제 뉴스 읽고 생각 정리 #66

25.11.06

2025.11.6(목)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585422

<요약>
1) 서울 아파트 매물 12% 감소, 갭투자 막히며 매물 잠김 현상
2) 거래절벽이 심화하고 있지만 주택 수요자들의 매수세와 호가를 올리며 관망세로 돌아선 매도자로 인해 가격은 오르는 모양새
3) 거래절벽 속에도 아파트 매매 가격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매물은 빠지고 있는데 주택 실수요자들 사이에서 문재인 정부 때 각종 규제에도 집값이 올랐다는 학습 효과로 매수세가 살아 있고, 급하지 않는 집주인들이 호가를 높여 매물을 내놨기 때문
4) 지난 4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물량은 2만5012건으로 대책 발표 전보다 1.9%(470건) 늘어난 반면 월세 매물은 같은 기간 1만9801건에서 2만863건으로 5.4%(1062건) 증가
월세 매물 증가율이 전세의 약 3배로 실제 월세화 빨라지고 있음
5) 과거 장기임대사업자로 등록했던 이들 역시 토허구역에 발목이 잡히면서 시장에 매물이 공급되는 것을 되레 막고 있다는 비판, 2018년 등록된 8년 장기임대주택의 의무기간이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만료되지만, 현 세입자가 거주 중이면 실거주 의무 규제 탓에 매도가 불가능

<생각>
1) 이번 현상을 보며, 정부는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강한 규제만 내놓은 격이니, 국민 전부가 정부의 기대와는 달리 집값은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호가를 올리고 매수인도 높은 가격에 거래하게 되는 것 같다.
2) 실제 월세화의 가속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지금 현상황에서 내 0호기를 매도 후 비용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는 전/월세로 내려 앉는 것이 편익고려했을 때 맞는 선택일까?하는 고민이 된다. 
3) 입지가 약한 0호기라, 매도해야하는 사실은 분명한데 오르는 흐름을 탔을 때 매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 매물이 부족한 상황이라 전, 월세 가격이 많이 부담될 수 있을 거 같다.
4) 향후 3년간은 공급 절벽 속에서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투자를 해야하는지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 어렵다 ㅠㅠ


댓글


조만장자2034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