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너나위님이 말씀하신건 옵셔널한 사적/개인연금을 추가로 준비하시라는 뜻인거 같고요 회사 퇴직연금( DB DC)와는 별개의 개념 입니다(의무사항임, 옵셔널 아님) 회사 DB->DC 변경여부는 은퇴시점까지 남은 나이 / 지금회사 얼마나 오래 다닐건지 / 나의 투자경험 등을 토대로 현회사 월급 오르는상승률 및 승진가능성이 높고 장기근속 예정이라면 DB. 아니라면 DC가 유리합니다.
쮸리님 안녕하세요 :) 재테기 듣고 계시는군요 강의 듣고 바로 실행에 옮기시려는 모습 너무 멋있으십니다 위에 바둑이누나님이 답변하신 것처럼 회사에서 쌓아주고 있는 퇴직연금은 개인연금과 별개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회사 사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연봉이 오르고있는 상황에서는 DB를 유지하는것이 유리합니다. 강의에서 배우신 것은 퇴직연금과 별개로 개인적으로 가입하는 연금 이고 배우신대로 증권사에 연금저축펀드/IRP 가입하여 저축의 일부를 불입하시면서 etf운용하시면 됩니다. 화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쮸리님, 통장 종류가 많아 많이 헷갈리시죠ㅎㅎㅎ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연금저축, IRP, ISA 모두 절세계좌는 맞으나 연금저축/IRP -> 연금 모아가는 계좌 ISA -> 5년 비과세 계좌 DC / DB -> 퇴직금 받는 방식 을 의미합니다. DB형은 승진으로 인한 연봉상승률 > 내가 직접 운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률 일때 주로 선택하고 DC형은 연봉상승률이 낮거나 승진을 거의 다해서 큰 연봉상승률이 기대되지 않을 때 즉, 연봉상승률 < 내가 직접 운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일 때 주로 선택합니다. 저희 회사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저희는 차장 달 때까지는 DB형으로 유지하고, 차장 승진 후에 보통 DC형으로 많이들 바꾸시더라구요ㅎㅎ 쮸리님 상황에 맞추어서 현명한 선택하시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