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주우이, 양파링, 잔쟈니, 권유디

지역개요를 하면서 아 지역분석 이렇게 하는거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강남과의 물리적, 시간적 위치도 중요하지만 해당지역의 지형, 지적편집도, 연령별 인구, 동별인구
'사람분석'을 통해서 현재와 미래의 수요, 그리고 왜 20대의 비율이 많은지 까지 생각할 수 있었다.
몇가지의 데이터만을 가지고도 이렇게 디테일한 결과를 산출 할 수 있다니,
나는 지난 실준반때 같은 조 선배님들 임보를 보면서 과제 템플릿에는 저렇게 디테일하게 하라고 안나와있는데 왜저렇게까지 하시는거지? 하는 생각을 했는데 (분명 이유가 있겠지하고 묻지는 않았다)
역시나 이유가있었던거야
입지
많은사람들이 A지역에 살지만, 자족기능이 부족하다. 근데 왜 사람이 많을까? 교통최고 교통짱
부족한 교통도 점차 채워지고있다. 물론 예타진행중인 곳도 있지만,
학군이랄것도 없지만 인기 단지인 B단지 상가내에 자체수요가 있는 학원가(?) 형성.
난개발 지역이라 현재 재개발구역이 꽤있어서, 완료되면 공급은 꽤 많아질것.
생활권 및 가격
같은 급지에 다른 지역과 비교해 봐도 현재 충분히 오르지않은 가격이다.
A지역에 편견(?) 영향일까?
생활권은 가장 강남과 가깝지만 소규모인 5를 제외하고
1-2-3-4 순서, 특히 1번이 선호도면에서 완전히 압도적이라 생각한다.
녹지가 꽤 있는 지역이라 그런지 섬처럼 되어있는 단지들이 있다. 마을버스도 운행하지않는 그런곳,
준신축이 거의없어 n억에서 nn억까지 가격형성이 되어있는데 가격회복정도가 각각 다른상황.
특히 초역세권 보다는 대단지의 힘이 큰 지역이다.
투자전략
역 접근성과, 단지규모, 그리고 기존선호도가 있는 생활권.
앞으로 개발가능성이 있는 단지들은 시간이 좀 필요해. 계획도 정확하게 봐야하고.
사실 A지역은 나의 처음이자 마지막 자취방이었고,
본가에서 첫 직장 출근할때 n년간 수도없이 갔던 지하철 역이었으며
전남친현남편이랑 데이트 많이하고 추억이 많은 지역이라 리뷰해주실때 기억이 새록새록 나서 더 좋았던것같다.
(물론 그땐 아파트단지에 관심이 1도없었지만)
지역분석 강의는 처음듣는데,
같이 온라인으로 같이 임장도는것 같았다!!!!!!!!!!!!!!!!!!!!!!!!!! (너무재밌어)
뒤에 예시로 나올단지들은 기억에 남게 콕콕 기억을 살려주시니 맵으로 굳이 찾지않아도 위치를 알겠고,
생활권분석 또한 키워드와 디테일까지 설명해주시니 기억을 안할수가없네
파링멘토님 강의처음듣는데 너무 좋았습니다 고생하셨고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