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내마중 21기 1렇게 열심히 해서 꼭 내 집 2채 가질 조 젬마소나]2주차 강의 후기- 비교평가

25.11.19

안녕하세요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젬마소나입니다.

오늘은 내집마련 중급반 2강 후기입니다.

이번 2강도 운이 좋게도 또

오프라인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어서 너무 행복했습니다.

강의를 듣다가 출근 때문에 중간에

나와야 하지만 강의를 

들으러 가는 길은 늘 행복합니다.

늘 행복한 기분을 갖게 하는

월급쟁이 부자들 건물입니다.

이번 2강에서는 비교평가에 대해서

자세하게 배웠습니다.

공부하면서 제일 어려운 부분이

비교평가 부분입니다.

하지만 용용맘맘맘 튜터님께서 

귀에 쏙쏙 넣어주셨습니다.

어려운 비교평가 시작해 보겠습니다.

먼저 비교 평가를 하기 위해선

후보 단지들이 먼저 추려져야 합니다.

그래야 서로 비교 평가를 할 수 있겠죠~~

 

 

먼저 내집마련을 위한 단지들을 추리기 위해선

예산에 맞는 단지들은 먼저 찾고

그 후에 임장을 통해서 

그 지역의 분위기와 아파트가 

어떤지 직접 느껴봐야겠죠~

단지들이 추려졌다면 비교평가를

시작하면 됩니다.

먼저 강남까지의 물리적인 거리가 

어느 정도 되는지 거리를 재봅니다.

그 후에 교통을 확인합니다.

수도권에선 교통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지에서 

 지하철역까지의 거리 또한 굉장히 중요합니다.

주요 지하철 노선은

 2>9>3=7=신분당선=수인분당선>5

순서입니다.

단지에서 주요 업무지구까지 걸리시는 

시간을 확인합니다. 

업무지구까지의 거리를 확인한 후

최종 수요는 어느 쪽이 더 많은지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그리고 수도권의 교통이 가지는 힘은

급지를 넘어섭니다. 그러므로

교통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지방에서는 교통이 수도권에서처럼 

중요한 요소는 아닙니다. 

교통보다는 주변 환경과 아파트의 연식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그다음으로 직장을 확인합니다.

누구나 알다시피 강남에 가장 많은

직장이 있습니다. 그다음으로는

시청, 여의도에 직장이 많이 있습니다.

직장의 수요는 계속 매매가와 전세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지방에서의 직장을 볼 때는

가깝다는 이유로 선호도가 높지 않다. 

여기서 아이를 키울 수 있나??를

더 중요하게 보는 요소입니다.

그다음 중요하게 볼 요소는 학군입니다.

단지와 학교가 가까운가?

어떤 초등학교로 배정을 받나?

학급당 학생 수가 많은가?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생 수가 많은가?

등을 확인합니다.

지방에서는 상품의 가치도

중요하게 볼 요소입니다.

신축 & 대단지

지방에서는 땅의 가치보다는

신축&대단지가 더 선호되기 때문입니다.

비교평가는 3단계로 나눠집니다.

1. 지역 내 비교평가

2. 지역 간 비교평가

3. 상황별 비교평가

1. 지역 내 비교평가를 하기 위해선

각 지역에서 선호 단지를 3개 정도 정리합니다

 "같은 가격이면 어디부터 먼저 봐야 할까?"

2. 지역 간 비교평가를 위해선

지역에서 가장 선호되는 단지를 1-2개만 

후보에 올려놓고 비교평가합니다.

"같은 가격이면 어디가 더 좋을까?"

같은 평형, 같은 연식으로 묶어서

비교평가를 하면 조금 더 쉽게 

비교평가를 하기 쉽습니다.

3. 그 후 나의 상황에 맞는 단지들을 

고르는 작업을 합니다.

저는 신혼부부이고 아이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저희는 교통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래서 역세권의 아파트들을 위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신혼부부여서 작은 평수에서도

살 수 있기 때문에 작은 평수도 함께 보고 있습니다.

저희에게는 학군은 크게 중요하지 않은

요소입니다. 저희는 부천과 안양에 직장이 

있기 때문에  강북은 물리적인 거리가

 멀어서 저희 예산에 들어오는 

아파트들이 있어도 직장과

너무 멀기 때문에 고려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구로, 평촌 위주로 

지역을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 후보 단지들을 더 많이 

뽑아서 배운 대로 비교평가를 해서

저희 상황에 맞는 단지들을

고를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해야겠습니다.


댓글


젬마소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