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주우이님의 3강의 전체는 투자 기회가 올 수 있는 지역에 대한 정리입니다.
*매매가가 충분히 떨어진 지역
*전세매물이 줄어들고 있는 지역
주우이님의 서남권은
서남권 전체와 서울을 비교해가면서
서남권을 하나로 묶은 후 이 지역을 서울과 비교해서 좋았습니다.
서남권이 하나의 구이고, 그 구 안의 지역을 동처럼 연결지어 큰 범위 안에서 비교함으로써
적용과 이해가 한눈에 보입니다.
서남권은 최우선은 강남 접근성이 북권들보다 낫고, 교통면에서 다양한 지하철 특히 직장 근접 2,5,9호선의 근접. 집중적인 설명은 강서, 양천, 구로, 영등포 위주의 설명.
저는 생각하는 저평가 구로서 관악구를 생각했지만, 워낙에 경사로가 많아 이번 설명에서는 여름에 가라고 하시니 ㅠㅠ 고민입니다. 이번 겨울에 동작구의 상도와 노량진도 넘어서 갔는데,,, 관악구를 너무 쉽게 생각한 걸까요?
가장 기억에 남고 BM할 필수충분 조건의 강의는 역시나 비교 평가입니다.
1. 시간: 고점 대비 30% 빠졌나, 전세가율이 60%이상인가
현재 전세가율이 50%(서울 전체 평균) 이것이 10% 오르는데 2년이 소용된다고 함. 난 그때를 위해 열심히 준비해야 한다
2. 실력: 지역내 비교 /지역간 비교
- 지역 내 비교: 생활권 내 입지 비교-비슷한 생활권 내면 과거 시세 비교=> 지역 내 같은 가격으로 매수할 수 있는 다른 단지 계속 비교
- 지역 간 비교: 땅의 가치가 더 좋은 곳 선택
단지의 가치가 더 좋은 곳 선택
단, 급지가 높다고 무조건 좋다는 편견 안됨. ex) 길동우성(강동)<신도림동아(구로)
땅의 가치가 비슷하다면 지역내 단지 선호도=> 임장을 통해 확인
ex) 신정, 신월<신도림(영등포)
** 서울투자로 부자가 되는 과정
=> 1,2 호기까지 해보고 나에게 맞는 과정을 찾는다
1) 늘려가기: 자산을 쌓아 주택 수를 늘리든
2) 갈아타기: 자산의 가치를 높여라: 돈을 조금 들이고 더 큰 자산, 더 높은 급지로
3) 부채 비중 줄이기: 자산을 안정하게 부채 비용 줄이고, 역전세 위험 덜하게
<끝까지 살아남는 방법>
1. 목표설정: 2024년, 5년 계획 수정
2. 우선순위 변경+몰입: 가족>투자>강의
3. 할 수 밖에 없는 환경: 강의를 계속 들으며, 미모/루틴 조 생활속에서 환경을 만들어라.
4. 꾸준히 하기: 끝까지 살아남아라. 깡통전세, 취득세, 임대사업자 얘기 나오면 투자로 돌아와라
강의를 미치고 스스로 다짐해 봅니다.
! 앞마당을 우선 3개를 만들자!
이를 만들어야 서로 비교가 가능하다.
그 후, 같은 급지에서 2~3개를 만들어 비교하고 저평가 비교가 가능하다
! 임보 결론을 낸다!
생활권 내의 비교를 통한 1등을 고르고,
이전의 임보에서 최종 단지와 비교해서 1등 고르기.
이것으로 나의 비교 평가 능력 성장시켜 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