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월부멘토, 권유디, 양파링, 프메퍼, 주우이

안녕하세요, 저스뚜잇 입니다. 지난 8월에 지기를 통해 지방 임장을 마무리하고 바로 서울 지역의 임장을 하게 됐는데요.단편적으로 보기에 기회는 현재 지방에 있다 생각하여 이번 강의 시작에 살짝 고민이 있었지만
1주 차 양파링님의 강의를 듣고 수강하는 게 맞았구나, 잠깐 간을 본 자신을 반성했습니다🤣
양파링 님은 강의를 마치고 나서
1)나는 어떤 서울 투자를 할 수 있는 투자자인가? 를 통해 서울 투자의 '로드맵'을 그릴 수 있고
2)나는 어떤 기준을 갖고 투자처를 선택할 것인가? 를 통해 '입지와 투자기준'을
가져갈 수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1)소액투자자로서의 방향 설정-로드맵을 그릴 수 있다.
2)소액 투자자는 지방시장 혹은 수도권의 하급지 투자가 가능하므로 잃지 않는 투자 기준을 가져간다.
:저환수원리+'환경+연식'에 더욱 집중하여 선호도 파악에 집중한다.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목적지는 모두가 같습니다. '큰 원씽' 에 도달하는 작은 세부계획(로드맵)을
완벽하진 않아도 세워보고 좋은 방향으로 개선되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서울 시장을 급지 별로 나누어 각 급지가 어떤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지
투자의 기회가 어떤 식으로 오고 얼마나 오랜 기간 동안 기회를 주고 있는지
데이터와 사례를 통해 알려주셔서 감사했습니다.
→내가 투자하려는 지역이 먼저 어디 급지에 해당하는지 파악하고,
그에 맞는 투자 시나리오를 그려볼 수 있어야 겠습니다.
각 25개구에 대한 평당가와 전세가율/ 투자금이 얼마나 들어갈 지 파악해서 알려주셨는데요.
다 외우기는 어렵지만 계속해서 들여다 보며 가격 수준을 자연스럽게 눈에 익혀야 겠습니다.
이 방법은 다른 임장지에서도 해봐야 하는 중요한 장표라고 생각했습니다.
→BM 해당 임장지 구 별 평당가/전세가율/투자금 장표로 정리해두기
더 나아가 급지의 가격 대를 익힐 때 구 전체적으로 보는 것보다
평균에 해당하는 '단지'로 파악하는 것이 더 기억에 남는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이 또 한 BM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늘 좋은 경험 나눔에 감사합니다♡
지난 지기의 자모님 강의에서도 좋은 투자자는 시장 전체를 퉁 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쪼개서 볼 줄 알아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지역의 위상-단지별 선호도로 쪼개어 지역 간 지역이 아닌 개별 단지 대 단지로 보는 습관을 들여야 겠습니다.
막연하게 서울 시장은 소액 투자자로서 접근할 수 없는 곳이라 멀리 두었던 것 같습니다.
양파링님은 이 부분이 가장 안타깝다고 하셨는데요.
'이 돈으로 살 수 없는 물건을 이 돈으로 샀다.'
투자의 기회가 언제 어디서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번쩍 들었습니다.
어디든 샅샅이 뒤지고 찾다보면 기회가 분명 올 것 이라 믿고 오늘도 묵묵히 손품 발품 열심히 팔아보겠습니다.
꼭 후에 자랑 아닌 자랑을 해보고 싶습니다.
"이 물건 이 돈으로 샀어!"
오늘도 성장하는 하루 보내세요♡
자음과 모음님,「30번의 토요일만 해보세요」컬럼 中
댓글
생생한 강의 후기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우~~!!! 생생 후기 감사합니다.!
저스뚜잇님의 이 정리력(?!)은 무엇!! 감탄하고 갑니다!! 다음 후기도 기대되요 ㅎ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