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내집마련 기초반 2강 강의 후기 [내집마련 기초반 42기 운영진 스테픈커리]

24.01.19

안녕하세요, 스테픈커리입니다.


이번 2강은 자음과모음 멘토님꼐서

서울 매수를 위한 지역 설명과

지방 매수 기준까지 같이 아울러서,

어떤 기준으로 어떤 금액대에 대한 매수를 주목할지를 배웠습니다.


가. 나 자신의 활동반경을 넓혀라


알고있는 지역, 막연하게 내가 갈 수 있는 범위

이런 곳들만 생각하여 그 금액대에서 좋은걸 찾는건 어느정도 하지만,


나 뿐만 아니라

만인이 좋아하는 곳을 찾아야 합니다.


월부 처음 입성했을 때 코칭을 받았을 떄,

지역에서 신도시이지만

수요의 깊이가 너무 얕은곳은

상품성 이외의 가치가 없다고 배웠는데,

그런 부분이 많이 오버랩되었습니다.


한창 불타오르던 21년 장

저는 사실 산골짜기 개울가 폭포 어딘가에

아파트를 세워놔도 새거면 청약불패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관념을 고치고 나서 들으니,

더더욱 많이 와닿는 강의였습니다.

유리천장은 깨라고 있는거죠!


나.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일단 대한민국의 중심 서울입니다.

강남이 중심지인건 맞는데, 그럼 다른곳은 어떻게 알지?

어디가 좋지? 하는게 서울이 어려운 저한테는

늘 어려운 개념이었습니다.


강남은 직장(GBD), 교통, 학군, 환경 모든 요소가 가장 압도적으로 갖추어져 있고

집약되어 있기 때문에, 그곳에 얼마나 빠르게 도달하냐가 주요하고

강남에 한번에 들어가는 노선을 그래서 더 잘 알아야겠죠


그리고 서울과 경기도의 주요한 급지를

5개 계층으로 나누면서, 그 등급간 차이의 원인과

가격 차이까지 설명해주셨습니다.


다. 같은 돈이라면 어디에 살아야할까?


단지를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가격과 함께 가치를 비교해야 합니다.


1) 강남접근성

2) 주변 환경

3) 상품성


을 통해서 단지의 가치를 볼 수 있고,

그 덕분에 각 지역의 단지들을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방은 강남접근성을 걷어내고 상품성과 환경을 위주로 보도록 하구요


투자하면서도,

내가 저런 상급지를 투자할 수 있는 날이 올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막상 한걸음씩 걸어가면 귀신에 홀린것처럼

그 목표가 어느새 이루어져 있는 걸 발견합니다.


내집마련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가진 한계를 부수고

가진 예산 안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해서

원하는 바를 모두 이루면 좋겠습니다.


긴 시간 강의해주시고,

수도권과 지방 입지와

의사결정 기준을 상세히 알려주신

자음과모음 멘토님 감사합니다.


댓글


스테픈커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